【 청년일보 】 국책 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5%로 하향 조정했다. KDI는 8일 발표한 '2024년 8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수출 회복세는 예상보다 강할 것으로 보았으나,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내수 부진이 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KDI는 올해 한국 경제가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한국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과 일치하며, 정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인 2.6%보다는 낮다. 내수 둔화로 인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기존 2.6%에서 2.4%로 하향 조정됐다. 수출 전망치는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반도체 경기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반영돼, 올해 수출 증가율은 기존 5.6%에서 7.0%로 상향 조정됐다. 반면, 고금리 기조가 길어지면서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회복은 더뎌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은 기존 1.8%에서 1.5%로, 설비투자는 기존 2.2%에서 0.4%로 하향 조정됐다. 경상수지 흑자 폭은 기존 703억달러에서 770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내수 부진이 고용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취업자 수
【 청년일보 】 반도체 수출 호조로 한국의 경상수지가 6년 9개월 만에 최대 규모로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경상수지는 122억6천만달러(약 16조8천90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7년 9월(123억4천만달러) 이후 최대 규모다. 올해 상반기 누적 경상수지는 377억3천만달러로, 전년 동기(11억5천만달러) 대비 크게 개선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지난 5월 예상했던 상반기 경상수지 흑자 규모인 279억달러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6월 경상수지 항목별 분석에 따르면, 상품수지는 114억7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9월(120억2천만달러) 이후 가장 큰 흑자 규모다. 수출은 588억2천만달러로 지난해 6월 대비 8.7% 증가했으며, 반도체(50.4%), 정보통신기기(26.0%), 석유제품(8.5%), 승용차(0.5%) 등의 수출이 늘었다. 동남아(27.9%), 미국(14.8%), 중국(1.8%) 등 주요 지역으로의 수출도 호조를 보였다. 반면, 기계류·정밀기기(-1.4%), 화공품(-7.5%), 철강 제품(-18.0%) 등은 감소했으며, 일본(-6.8%), EU(-18.3%) 등에
【 청년일보 】 국내 제조업체 10곳 중 7곳이 중국의 저가 공세로 인해 매출이나 수주에 영향을 받거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의 완제품 재고 물량이 다시 증가하면서 밀어내기식 저가 공세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전국 제조기업 2천22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27.6%는 중국 제품의 저가 수출로 인해 실제 매출 및 수주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현재까지는 영향이 없으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를 나타낸 기업도 42.1%였다. 특히, 중국의 저가 공세로 인한 피해는 국내 내수시장보다 해외 수출시장에서 더욱 심각했다. 수출기업의 37.6%는 '실적에 영향이 있다'고 답해 같은 응답을 선택한 내수기업(24.7%)을 크게 앞섰다. 또한, 향후 피해가 적거나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내수기업(32.5%)이 수출기업(22.6%)보다 높게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이차전지(61.5%), 섬유·의류(46.4%), 화장품(40.6%), 철강금속(35.2%), 전기장비(32.3%) 등이 중국의 저가 공세로 큰 타격을 받았으며, 특히 전기차 수요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
【 청년일보 】 K-푸드 인기가 계속되면서 올해 들어 7개월간 농식품 수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1월부터 지난달까지 농식품 수출 누적액이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56억7천만달러(약 7조7천736억원)로 잠정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수출 상위 품목은 라면, 과자류, 음료, 커피조제품, 쌀가공식품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달까지 라면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0% 증가한 7억달러(약 9천597억원)로 최대를 경신했고, 과자류‧음료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성장했다. 특히 즉석밥‧냉동김밥 등 쌀가공식품(1억6천500만달러)은 비건‧건강식 및 한류에 대한 관심의 지속으로 45.7%라는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고, 연초류(일반·전자담배) 수출액이 6억3천600만달러(약 8천720억원)로 9.0% 증가했다. 과자류 수출액은 4억2천400만달러(약 5천813억원)로 14.7% 늘었다. 음료 수출액(3억8천800만달러)은 11.8% 증가했고, 인삼류(1억7천900만달러)와 김치 수출(9천700만달러) 수출액은 각각 5.0%, 3.7% 늘었다. 수출 시장별로는 대부분의 권역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대유럽 수출
【 청년일보 】 내년 최저임금이 시간급 1만30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제도 시행 37년 만에 처음으로 1만원을 넘어선 것이다. 고용노동부(이하 노동부)는 5일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 최저임금 9천860원보다 170원(1.7%) 오른 시급 1만30원으로 확정 고시했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209만6천270원(월 209시간 근무 기준)으로, 모든 사업장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총 11차례 전원회의를 거쳐 지난달 12일 표결을 거쳐 이 같은 최저임금안을 의결한 후 노동부에 제출했다. 노동부는 최저임금안 고시 후 10일간의 이의 제기 기간을 운영했고, 노사 단체의 이의 제기가 없어 그대로 확정됐다. 이의 제기가 없었던 것은 지난 2020년 이후 처음이라고 노동부는 전했다. 다만 이의 제기가 있었던 경우에도 받아들여진 적은 한 번도 없다. 정부는 내년 최저임금이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홍보와 함께 사업장에 대한 교육·컨설팅, 근로감독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 청년일보 】 다음 주(8월 5∼9일)에는 최근 우리나라 해외 교역 성적표가 공개되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제전망 수정치도 발표된다. 우선 한은은 7일 '6월 국제수지(잠정)' 결과를 내놓는다. 앞서 5월의 경우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경상수지 흑자가 2년 8개월 만에 최대인 89억2천만달러(약 12조3천270억원)를 기록했다. 이에 1∼5월 누적 경상수지(254억7천만달러)도 지난해 같은 기간(-50억3천만달러)보다 305억달러 개선됐다. 한은은 6월을 포함한 상반기 경상수지 흑자가 전망치(279억달러)를 웃돌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6월 경상수지가 상품수지와 본원소득수지를 중심으로 상당폭 흑자를 기록할 것"이라며 "무역수지 흑자가 상품수지에 반영되고, 5월 분기 배당 영향이 약해지면서 본원소득수지도 확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8일 경제전망 수정치를 발표한다. 석달전 경제전망에서 연간 성장전망을 0.4%포인트 상향조정한 만큼 거시경제 기본전망에서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하반기 경기, 내수 흐름 등에 대한 KDI의 진단이 주목된다. 앞서 KDI는 지난 5월 경제전망에
【 청년일보 】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가격이 6주 만에 하락 전환했다. 경유 가격은 소폭 오름세를 이어갔다. 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7월 다섯째 주(7월 28일∼8월 1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2.5원 하락한 1천711.0원을 기록했다. 휘발유 가격은 6월 셋째 주 이후 5주 연속 오른 후 6주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지역별로는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이 직전 주보다 2.9원 하락한 1천776.6원, 가격이 가장 낮은 울산이 5.2원 내린 1천681.8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경유의 평균 판매가격은 L당 1.9원 상승한 1천548.3원을 기록했다. 6주 연속 상승세지만 상승 폭은 둔화하고 있는 추세다. 이번 주 국제 유가는 주요국 경기 부진 우려로 4주 연속 하락했다. 다만 하마스 지도자 암살 이후 중동의 지정학 리스크 고조로 낙폭은 제한적이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제유가 하락분 반영과 원/달러 환율 약세 영향으로 당분간 국내 판매 가격도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 청년일보 】 지난달 한국의 대미(對美) 수입이 79억달러를 기록하며 월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에 따라 50달러 안팎이던 대미 무역흑자 규모도 절반 수준인 20억달러대로 축소됐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7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대미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48.9% 증가한 79억 2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월간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이며, 대미 수입이 70억달러를 넘긴 것은 지난 2022년 1월, 5월, 8월과 올해 지난달을 포함해 총 네 차례뿐이다. 지난달 대미 수입 증가를 이끈 주요 품목은 석유제품이었다. 석유제품 수입은 휘발유, 경유, 제트유 및 등유, 나프타, 중유, 윤활유 등을 포함하며, 지난달 1~25일까지의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93.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한국이 지난해 수입한 석유제품은 총 3억7천만배럴로, 그중 9천만배럴이 미국에서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지난 2020년대 들어 미국으로부터 원유 수입도 크게 늘리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 정세의 변화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이 어려워지면서 미국산 원유 수입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미국산 원유 수입 비
【 청년일보 】 올해 2분기 해외직구 시장이 2조원을 돌파하며 기록적인 성장을 보였다. 특히, 중국으로부터의 구매가 크게 증가하며 전체 해외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6월 온라인쇼핑 동향 및 2분기 온라인 해외직접 판매·구매 동향'에 따르면, 2분기 해외직접구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6% 증가한 2조149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기준으로 해외직구액이 2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중국에서의 구매액은 1조2천3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8% 급증했다. 이는 알리바바와 테무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저가 제품이 국내에서 인기를 끌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체 해외직구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61.4%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46.8%에서 무려 14.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반면, 미국으로부터의 직접구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9.2% 감소한 4천249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비중은 21.1%에 그쳤다. 일본은 1천346억원으로 16.4% 증가했으나, 전체 비중은 6.7%로 3위에 머물렀다. 해외 '역직구'는 감소세를 보였
【 청년일보 】 지난달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4% 가까이 증가하면서 10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반도체와 대(對)중국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며 수출 호조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발표한 '7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한 574억9천만달러로, 지난해 10월부터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는 역대 7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 우리나라의 15대 주요 수출 품목 중 11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액은 50.4% 증가한 112억달러로 9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디스플레이,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 정보통신(IT) 품목도 각각 2.4%(17억달러), 61.6%(12억달러), 53.6%(15억달러) 증가했다. 일반 기계 수출은 12.5% 증가한 49억 달러로, 7월 중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9.1% 감소한 54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주요 업계의 하계 휴가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산업부는 "자동차 부품 수출은 9.5% 증가한 22억달러로 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고 설명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