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하루 만에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15일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2시 44분(서부 시간 오전 11시 44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3.16% 상승한 10만6천458달러(1억5천313만원)에 거래됐다. 특히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10만7천800달러대까지 오르며 전날 기록했던 사상 최고가(10만6천500달러대)를 하루 만에 경신하기도 했다.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3.84% 오른 4천62달러를 나타내며 다시 4천달러선에 올랐고, 리플은 2.51% 오른 2.47달러에 거래됐다. 솔라나는 1.11% 내린 219달러, 도지코인은 0.68% 오른 0.41달러를 나타냈다. 비트코인의 상승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이 전략적 비축 기금(bitcoin strategic reserve fund)을 추진할 것이라는 언급이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주말 미 경제전문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석유 비축 기금과 같은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기금을 만들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가상화폐와 관
【 청년일보 】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11일만에 다시 사상 최고지를 갈아치웠다. 15일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6시 25분(서부 시간 오후 3시 25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3.63% 오른 10만5천87달러(1억5천90만원)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이 10만5천 달러선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4일 기록했던 코인베이스 기준 이전 역대 최고치 10만4천 달러를 11일 만에 갈아치웠다. 지난 13일 10만 달러선에 다시 올라선 이후 3일째 10만 달러대도 유지하고 있다. 이날 10만3천 달러선에서 등락하며 10만4천 달러선에 근접하던 가격은 오후 강한 매수세가 유입되며 10만4천 달러선을 뚫었다. 상승세는 계속돼 한때 10만5천 달러선도 넘어섰다. 이 같은 상승세는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타 랠리'는 크리스마스를 전후해서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이다. 코인 전문매체 코인게코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비트코인은 크리스마스 직전 주에는 7번 상승했고, 크리스마스가 끝난 다음 주에는 상승과 하락이 각각 5번이었다. 이 기간 비트코인의 평균 상
【 청년일보 】 비트코인이 10만 달러선을 유지하며 사상 최고치에 다시 근접하고 있다.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으로 15일 오전 11시 52분(서부 시간 오전 8시 52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1.34% 오른 10만3천47달러(1억4천799만원)를 나타냈다. 지난 13일 10만 달러선을 재탈환한 이후 3일째 10만 달러대다. 지난 4일 사상 처음 10만 달러선을 뚫은 이후 가장 오랜 기간이다. 이에 서서히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지난 4일 기록했던 코인베이스 기준 역대 최고치 10만4천 달러선에 근접하고 있다. 이 같은 상승세는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타 랠리'는 크리스마스를 전후로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이다. 코인 전문매체 코인게코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비트코인은 크리스마스 직전 주에는 7번 상승했고, 크리스마스가 끝난 다음 주에는 상승과 하락이 각각 5번이었다. 이 기간 비트코인의 평균 상승률은 1.3%를 기록했다. 아울러 비트코인을 10만 달러선으로 끌어올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새로운 친(親) 가상화폐 정
【 청년일보 】 주요 저축은행 및 유관기관 수장의 임기가 수개월 내 만료를 앞두고 있다. SBI저축은행과 한국투자저축은행을 비롯해 저축은행중앙회장은 내년 3월 이전에 임기가 만료된다. 저축은행업계에서는 이들 저축은행 대표들이 호실적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연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의 경우 민간 출신인 오화경 회장이 연임에 성공할지, 기존의 관행대로 다시 관료 출신이 수장 자리를 넘겨받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6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김문석 SBI저축은행 대표와 전찬우 한국투자저축은행 대표의 임기는 모두 내년 3월 종료된다. 김문석 SBI저축은행 대표는 지난해 2월 취임해 1년 임기를 마친 뒤 올 3월 연임에 성공했다. SBI저축은행의 모회사인 일본계 금융그룹 SBI홀딩스는 자회사 대표의 경영성과를 매년 평가해 임기를 1년 단위로 한다. SBI저축은행의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김 대표의 임기 만료 한 달 전인 내년 2월 대표 선임 절차를 개시할 예정이다. 올해 연임에 성공한 김 대표의 과제는 수익성 방어였다. 최근 2년 새 고금리 기조 장기화로 조달비용 부담이 커진데다, 업계 차원에서 부동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 청년일보 】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가 카드 사용 정보 수신을 신청한 고객에게 사전 동의 없이 이를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보안 및 안정성 문제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11일 금융당국 및 통신업계에 따르면 금융위는 카드사의 정보성 메시지를 옵트아웃(사후 동의) 방식으로 카톡 알림톡으로 보낼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보성 메시지는 실시간 결제금액, 승인내역 등 카드 이용내역과 결제예정금액 등 카드 사용에 관한 안내 정보를 말한다. 카드사들은 정보성 메시지 수신을 신청한 고객에게 이를 문자, 카카오톡, 카드사 앱 푸시 등으로 제공하고 있다. 현재도 고객이 사전에 동의하면 정보성 메시지를 카톡 알림톡으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후 동의 방식을 적용하면 카드사가 메시지 수신 신청 고객에게 사전 동의 없이 먼저 이를 카톡으로 보내고 나중에 고객은 카톡 수신을 거부할 수 있다. 사후 동의 방식의 알림톡 발송이 허용되면 문자 메시지에 비해 보안과 안전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카카오톡은 2022년 화재로 인한 '먹통 사태'에 이어 올해에도 크고 작은 서비스 장애를 일으켰는데, 이같은 문제가 소비자가
【 청년일보 】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10일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 저축은행과 카드·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를 연이어 소집해 간담회를 열고 충분한 가용 유동성 확보와 비상대응체계 재점검, 부실자산의 신속한 정리 등을 당부했다. 금감원은 저축은행 CEO들에 "개별사, 중앙회, 한국은행으로 이어지는 3중 유동성 대응체계를 재점검해 비상시 문제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하고, 단기 손익에 연연하지 말고, 자산건전성 확보를 위해 경·공매, 매각 등을 통한 적극적 부실 자산정리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저축은행 CEO 간담회에는 KB, SBI, 금화, 모아, 애큐온, 웰컴, 한국투자저축은행 등 7개 저축은행 CEO가, 여신전문금융회사 CEO 간담회에는 신한·KB·삼성·현대카드와 현대·KB·롯데캐피탈 등 7개사 CEO가 참석했다. 금감원은 여전채 발행과 저축은행 수신 동향 모니터링 과정에서 특이사항이 포착되면 금융감독당국과 신속히 공유 및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 강화 과정에서 취약차주에 대한 자금공급기능이 위축될 우려가 있다"면서 "중·저신용자 등 취약차주들이 자금애로가
【 청년일보 】 최근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주목도가 무섭게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의 시장 점유율이 눈에 띄게 높아지고 있다. 9일 가상자산 정보 제공업체인 코인게코에 따르면 업비트의 가상자산 원화 시장 점유율은 미국 대선 직전인 지난달 5일 56.5%에서 이달 7일 78.2%로 21.7%포인트(p) 상승했다. 특히 비트코인 가격이 사상 처음 10만달러 돌파를 목전에 뒀던 지난 4일에는 업비트의 점유율이 80%를 웃돌기도 했다. 같은 기간 2위 거래소인 빗썸의 점유율은 41.2%에서 19.3%로 줄어들었다. 나머지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의 점유율은 0~1%대로 큰 변동이 없었다. 업비트 쏠림 현상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는 "거래량이 급증하면 업비트 점유율이 높아지는 현상은 과거부터 되풀이됐다"며 "하락장 때 거래를 쉬던 기존 회원들이 대거 돌아와 다시 투자에 뛰어들면서 업비트를 통한 거래도 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런 흐름이 계속될 경우 '독과점' 논란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은
【 청년일보 】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자산 규모가 국내 도입된 지 23년 만에 100조원을 돌파했다. 8일 리츠정보시스템에 따르면 11월 현재 국내 리츠 개수는 395개, 자산은 100조7천20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상업용빌딩이나 호텔, 물류센터, 주택 등 부동산에 투자한 뒤 수익을 배당하는 회사인 리츠는 2001년 국내 처음 도입됐다. 2002년 6천억원 수준이었던 리츠의 자산 규모는 2012년까지도 10조원에 못 미쳤다. 하지만 2020년 61조3천100억원, 2021년 75조5천600억원, 2022년 87조6천600억원, 2023년 93조8천700억원 등으로 최근 몇 년 새 가파르게 불어났다. 운용 리츠 수도 2002년 4개에서 올해 395개로 늘어났다. 리츠는 크게 3가지로 나뉘며 자산의 투자 및 운용을 자산관리회사에 위탁하는 위탁관리리츠가 376개로 가장 많다. 투자 대상이 기업구조조정용 부동산에 한정하는 기업구조조정리츠(CR리츠)가 15개, 자산운용 전문인력을 두고 직접 투자와 운용을 수행하는 자기관리리츠 4개 등이다. 위탁관리리츠와 기업구조조정리츠는 당기순이익의 90% 이상을 의무 배당해야 한다. 리츠는
【 청년일보 】 비트코인 가격이 하루 만에 10만달러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이 '비트코인 10만달러 돌파'를 언급하며 이를 환영했다. 5일(현지시각)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3시 41분(서부 낮 12시 41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0.40% 내린 9만8천791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은 10만달러 돌파 후 10만3천900달러까지 치솟았으나, 매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상승분을 하루 만에 모두 반납했다. 비트코인은 지난 한 주 약 4%, 지난 30일 동안 41% 상승했다. 지난달 5일 미국 대선일에 7만3천737달러를 돌파한 이후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이 같은 상승세는 가상자산과 관련해 우호적인 발언을 해온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영향으로 분석된다. 그는 미 대선 과정에 "미국이 지구의 가상화폐 수도이자 세계의 비트코인 슈퍼파워가 되도록 하겠다"라면서 가상화폐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친비트코인 대통령"이 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전날 차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으로 친(親) 암호화폐 성향의 폴 앳킨스 전 SEC 의원을 지
【 청년일보 】 OK금융그룹(이하 OK금융)이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추진한다. OK금융은 상상인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실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시작으로 OK금융이 '종합금융그룹 도약'에 한 걸음 다가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올해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저축은행업 인가 조건 이행 주문인 대부업체 청산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6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OK금융은 상상인저축은행을 인수할 계획으로, 지난 2일부터 삼일회계법인의 자문을 받아 실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13일까지 진행되는 실사가 마무리되면 내년 상반기 내 인수 절차를 밟게 된다. OK금융이 상상인저축은행을 인수하면 계열사인 OK저축은행의 자산규모는 업계 1위 SBI저축은행(13조8천800억원, 6월말 기준)을 넘어서게 될 전망이다. OK저축은행의 총자산은 13조3천200억원(6월말 기준)인데, 상상인저축은행의 자산 2조5천900억원을 합하면 업계 1위로 올라서게 된다. OK저축은행의 영업권 또한 확대될 전망이다. 경기도와 인천지역 영업권을 가진 상상인저축은행을 인수하면 OK저축은행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전체 영업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