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10월 경상수지 흑자폭이 1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0월 경상수지는 78억3000만달러 흑자로, 흑자폭이 작년 10월(94억7000만달러) 이후 12개월 만에 가장 컸다. 상품수지가 나빠졌지만, 서비스수지와 급료 및 임금과 투자소득의 내국인과 외국인 간 차액인 본원소득수지가 개선된 영향을 받았다. 경상수지는 지난 4월(3억9000만달러 적자) 한 차례를 빼고는 줄곧 흑자를 나타내고 있다. 상품수지 흑자가 80억3000만달러로 1년 전(105억2000만달러)보다 흑자폭이 24억9000만달러 줄었다. 수출이 수입보다 더 많이 줄어든 탓이다. 수출(491억2000만달러)은 14.5%, 수입(410억9000만달러)은 12.5% 각각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 수출 감소세는 11개월째 이어졌다. 서비스수지는 17억2000만달러 적자로 적자폭이 작년 10월 대비 3억4000만달러 줄었다. 통관수입 물동량 감소로 운송수지 적자폭이 1억7000만달러 줄어든 영향이 컸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 적자폭은 8억2천만달러로 작년 10월보다 4천만달러 감소했다. 중국인과 동남아시아인을 중심으로
【 청년일보=길나영 기자 】 상반기 경상수지가 7년 만에 최소 흑자를 기록했다.이는 중국인, 일본인 입국자가 늘면서 여행수지를 포함한 서비스 수지 적자는 줄었지만 세계 교역, 반도체 부진으로 수출이 대폭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6월 및 상반기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경상수지는 217억7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지난 2012년 상반기 96억5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한 뒤 7년 만이다. 경상수지는 자본수지, 금융계정과 함께 국제수지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다. 경상수지는 상품과 서비스를 사고 팔아 번 외화(수출)와 지급한 외화(수입)의 차이다. 경상수지에는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가 포함된다. 상반기 경상수지가 7년 만에 가장 부진했던 것은 상품수지가 악화한 영향이 가장 컸던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상품수지는 370억6000만달러 흑자를 보였는데, 이는 2013년 상반기(337억3000만달러 흑자) 이후 가장 부진한 것이다. 상품수지가 부진한 것은 수출이 둔화한 이유로, 상반기 수출은 2777억2000만달러에 그치며 전년 대비 9.8% 줄어들었다. 상품수출이 전년 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