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산업은행 "대우조선 하청노조파업 장기화 땐 추가지원 불가"

 

【 청년일보 】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조의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대우조선이 회생절차 신청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쪽에서는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조의 파업이 장기화하면 정상적인 부채 원리금 상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원칙론으로 이번 사태를 바라보고 있다. 산업은행과 산업계에 따르면, 하청 노조 파업 장기화로 조업차질이 빚어지고 이 여파로 자금난이 일어나는 경우, 채권단은 추가 지원을 할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

채권단이 대우조선해양의 자금 지원 요청을 거부하면 대우조선은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해야 할 것으로 산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특히, 회생 심사 과정에서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가치가 적다고 판단, 청산 절차를 밟을 가능성까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수년간 혹독한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추가로 매각할 만한 자산이 남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

 

하청 노조 파업 지속으로 인한 매출, 고정비 지출, 지체보상금 등 합계 손실액은 7월 말 8천165억원에 달하고 8월 말에는 1조3천59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대우조선해양 측은 추산한다. 

 

대우조선해양은 자금난으로 2016년 이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해 왔으며, 채권단은 대우조선에 총 4조2천억원을 지원했다. 이 중 산업은행은 2조6천억원을 담당했다.

 

【 청년일보=임혜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