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타임스퀘어. [사진=LG전자]](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730/art_16590516850638_a4c07b.jpg)
【 청년일보 】 미국 상무부가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음에도 미국 증권가는 상승 랠리에 나섰다.
28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32.04포인트(1.03%) 오른 3만2천529.63으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 기준 48.82포인트(1.21%) 상승한 4천72.43을 나타냈고, 나스닥도 전장 대비 130.17포인트(1.08%) 뛴 1만2천162.59로 거래를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미국 2분기 GDP 성장률 자체보다는 기업 실적,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통해 긴축이 진행되긴 하겠지만 미국 경제가 견조하다는 점 자체에 주목하면 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지난 1분기 -1.6%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미국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미국 경제는 기술적 침체에 진입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다만 이번 수치는 속보치로 이후 두 차례 더 수정될 수 있으며, 실제 침체 여부는 전미경제연구소(NBER)의 공식적인 선언으로 판단되므로 섣부른 우려를 할 필요가 없다는 뉴욕타임스 보도도 나왔다.
결국 지표 부진은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경기침체가 발생하더라도 그 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과 일치했고, 경기가 둔화할수록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는 완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연준은 이미 두번째 자이언트스텝 단행을 결정하면서도 향후 금리 인상 폭 결정에는 시장 상황을 고려해 유연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뜻 또한 시장에 전달했다.
【 청년일보=임혜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