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값 하락이 문제로 떠오른 가우느데, 쌀 산업 안정 특별지원을 농협중앙회가 발표했다. 사진은 2020년 경상북도 예천군의 조생종 벼 수확 모습. [사진=예천군]](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832/art_16601789199771_279e5e.jpg)
【 청년일보 】 농협중앙회가 3천400억원을 투입해 벼 수매 비용과 수확기 창고 비용을 지원하는 ‘쌀 산업 안정 특별지원’을 단행한다.
11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쌀 가격 폭락과 재고 과잉으로 인해 각 농협이 올해 신곡을 매입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자, 국내 쌀 산업이 위기에 처했다고 판단하고 이 같은 중앙회 차원의 지원 방안을 수립한 것.
지원방안 주요 내용은 ▲수확기 대비 벼 수매 농협 창고 공간 확보 위한 쌀 8만톤(t) 창고 이동 및 제반비용 지원(3천억원) ▲쌀 산업 기반 육성·고품질 쌀 생산 위해 벼 수매 농협 235억원 지원 ▲경영 어려운 농촌농협 재고처리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실천 지원(175억원) 등이다.
우선, 2002년산 벼 수매를 위한 창고 공간 확보를 위해 무이자자금 3천억원을 투입한다. 이에 따라 창고 공간이 부족한 농협이 보유한 쌀을 별도 창고로 이동·보관하도록 한다.
또 벼를 수매하는 전국 농협에 총 235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경영이 어려운 농촌농협에 대한 지원과 쌀 소비촉진 운동 등에 17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예산으로 각 농협은 보유한 쌀 5천톤을 가공용 쌀로 판매해 재고를 정리한다. 도시농협 등에서는 쌀 소비 촉진 운동을 진행해 쌀 3천톤 이상을 판매하고 소외계층에는 쌀 2천톤을 기부키로 했다.
【 청년일보=임혜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