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때 치료 못 받는 국민 15%…10명 중 2명 "의료비 부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편적 건강 보장 위한 대안 필요"

 

【 청년일보 】 국민 15%가량이 제때 병원 치료를 못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료 기회를 놓친 이들 중 상당수는 비용 때문에 치료를 포기했다.


2일 연합뉴스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한국의료패널 등의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자료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국내 병의원 기준 미충족의료 경험률(응답자 1만64명)은 2020년 현재 15.0%(남자 15.0%, 여자 14.9%)였다.


미충족의료 경험률은 최근 1년간 병의원 치료 또는 검사(치과 제외)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었는데도, 받지 못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 사람의 비율이다.


한국의료패널조사에서 2011년부터 18세 이상 성인 가구원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있다.


병원에 못 간 이유로는 '시간을 내기가 어려워서'가 50.7%(중복 응답 포함)로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 '의료비가 부담돼서'(21.2%), '교통편이 불편해서, 거리가 멀어서'(9.3%) 순이었다.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률은 80세 이상(5.6%)과 70대(4.1%) 등 고령층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다른 연령대는 대체로 3%를 밑돌았다.


저소득층은 치료비 자체가 '재난' 수준으로 높은 경우도 다른 집단보다 많았다.


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재난적 의료비 발생 가구 비율은 2020년 현재 3.93%다.


이 가운데 소득 1분위(최저 소득)에서의 비율은 10.8%로, 전 분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재난적 의료비 수준을 가구의 지불능력 대비 의료비 지출이 40% 이상인 경우로 정의한다.


한마디로 저소득층에서는 의료비가 전체 가용소득의 40%를 넘는 가구가 10집 중 1곳이나 된다는 뜻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고든솔 부연구위원은 "보편적 건강 보장 실현에 필요한 접근성·서비스·비용을 보장하는 데 있어 대상별로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