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고령화로 '독거노인' 가구 증가…전체 가구의 10% 차지

통계청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공개
고령인구 949만7천명...전년 대비 5.0% 증가

 

【 청년일보 】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지난해 10가구 중 1가구는 고령자 혼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비중 또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29일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를 발표하며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는 949만7천명으로 전년 대비 45만1천명(5.0%) 증가했다. 


고령인구 중 65∼74세가 전체 고령인구의 58.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75∼84세는 31.3%, 85세 이상은 10.5%를 차지했다. 


특히 85세 이상 인구는 전년 대비 7.3% 증가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고령인구 중 친족과 함께 거주하는 인구는 72.2%(685만6천명), 혼자 사는 인구는 22.5%(213만8천명), 집단가구에 거주하는 인구는 3.4%(31만9천명)로 집계됐다.


가구로는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681만3천가구로 전체 일반 가구의 30.9%를 차지했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17.0%를 차지했으며, 이 중 고령자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9.7%를 차지했다. 독거노인 가구는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1인 가구는 782만9천가구로 전년 대비 32만7천가구(4.4%) 증가해 전체 가구의 35.5%를 차지했다. 


이는 역대 최대 비중으로, 결혼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1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만, 증가율은 지난 2020년 8.1%, 2021년 7.9%, 2022년 4.7%, 지난해 4.4%로 둔화하는 추세다.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율을 보면, 20대 이하가 18.6%로 가장 높고, 60대와 30대가 각각 17.3%를 차지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30대(21.8%)가 가장 많고, 여자는 60대(18.6%)가 가장 많았다.


한편, 다문화 가구는 41만6천가구로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다문화 가구 중 귀화자 가구가 43.1%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이민자 가구가 37.0%, 다문화자녀 가구가 11.3%를 차지했다. 


한부모가구는 전체 가구의 6.8%(149만3천가구)를 차지했으며, 미혼모가 2만명(78.8%)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 주택은 1천954만6천호로 전년보다 39만1천호(2.0%) 증가했다.


연평균 주택 증가율은 지난 1995년 5.4%에서 지속해 감소, 2016년 2.0%까지 낮아진 후 반등하다가 2019년 이후 증가 폭이 둔화했다. 2021년 1.5%까지 낮아졌다가 2022년(1.8%)부터 2년 연속 확대됐다.


주택당 평균 거주 인원은 2.7명으로, 5년 전 대비 0.3명 감소했다. 미거주 주택(빈집)은 153만5천호로 전체 주택의 7.9%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8만3천호(5.7%) 증가하면서 전체 주택 중 빈집도 전년보다 0.3%p 증가했다.


시도별 건축된 지 30년 이상 된 빈집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 8.6%(7만1천호), 경북 6.6%(7만3천호), 전북 6.3%(4만8천호) 순이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