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아파트 화재 전기차 2차 합동 감식.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833/art_17234407827624_893f8e.jpg)
【 청년일보 】 전기차 공포증이 확산하면서 정부가 '차관급' 대책회의를 열어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12일 정부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오전 환경부 차관 주재로 진행된 관계부처와 전문가 참여 회의와 별도로 오는 13일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각 부처 차관이 참석하는 회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13일 회의에서 관계부처 의견을 종합적으로 듣고, 각 부처가 준비하는 대책에 부족한 부분이나 더 고민할 부분이 없는지 살펴볼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인천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등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고 관련 피해도 커지면서 '전기차 공포증'이 확산하고 있다.
정부 대책은 '전기차 자체'와 '충전기를 비롯한 전기차 관련 기반시설' 등 두 갈래로 나뉘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논의되는 방안은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공개'다.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화재가 난 차에 애초 알려진 것과 다른 제조사 배터리가 탑재된 것이 확인되며 배터리 제조사 공개 요구가 커졌다.
국토교통부는 전기차 제원 안내에 배터리 제조사를 반드시 포함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대자동차는 9일 홈페이지에 선제적으로 차종별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했다.
다만 배터리 제조사 정보는 영업비밀에 해당해 공개를 강제하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통상문제 비화 우려도 있다.
당분간 '100% 충전'을 제한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서울시는 다음 달 말까지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을 개정해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에 90% 이하로 충전을 제한한 전기차만 출입할 수 있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충전율 제한으로 화재 발생 비율을 효과적으로 낮출수 있다고 설명하지만 충전율이 제한되면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도 줄어 전기차 차주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분야 한 전문가는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요인은 과충전과 셀 불량이 대다수"라며 "주행거리가 줄어들어 차주들의 반발도 있겠지만,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것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전기차 충전기와 관련해서는 과충전 방지를 위해 전기차와 통신할 수 있는 '전력선통신(PLC) 모뎀' 장착 기기를 확대하는 방안이 대책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현재 급속충전기엔 대부분 PLC 모뎀이 장착돼있으나, 완속충전기엔 거의 없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PLC 모뎀을 장착한 '화재 예방형 완속충전기' 보급을 위해 보조금을 40만원 더 지급하고 있다. 다만 이미 구축된 완속충전기에 대해선 별다른 방안이 없다.
불이 났을 때 소방력 투입이 어려운 지하에는 충전기를 설치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다만, 신축 아파트는 지상에 차량 통행이 금지된 곳이 많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소방당국은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스프링클러를 좀 더 촘촘하게 설치하고, 반응속도도 높이는 방향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