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오후 5시경 서울 동대문구 소재 한국외대 앞 교차로에 발생한 교통체증. [사진=청년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835/art_17248300009416_b53dea.png)
【 청년일보 】 내년 상·하반기 대규모 입주가 예정된 서울 동대문구 '이문뉴타운' 사업으로 인해 인근 주민들의 교통체증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관할 지자체인 서울시와 동대문구청에선 여태 도로 확충과 관련한 기본계획조차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사업지의 주 도로격인 이문로는 편도 2차선에 불과해 현재도 출·퇴근시간 극심한 교통정체가 발생하고 있는데, 7천가구 이상의 대규모 재개발이 완료돼 입주를 시작하는 내년엔 교통지옥이 펼쳐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준공을 불과 수 개월 앞둔 현 시점에서 도로 확충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타당성 조사용역의 마감기한도 당초 올 10월 중순에서 내년 상반기로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인근 주민들의 우려가 현실화될 공산이 커졌다는 평가다.
29일 서울시·동대문구청 및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257-42번지 일대(이하 이문1구역)와 같은동 149-8번지 일대(이하 이문3구역)에 각각 3천69세대와 4천321세대 총 7천세대 이상의 대규모 단지가 조성된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문1구역은 내년 1월, 이문3구역은 내년 하반기 입주예정이다. 1구역 시공은 삼성물산이, 3구역 시공은 HDC현대산업개발과 GS건설 컨소시엄이 맡았다.
문제는 현재도 협소한 도로탓에 출퇴근시간 정체가 발생하는데 내년 상하반기 차례로 7천가구 이상의 대규모 입주가 예정돼 교통량 급증이 충분히 예상됐음에도 현재까지 이렇다할 교통대책이 수립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문동 한 주민은 "외대앞역 교차로를 중심으로 출퇴근시간 정체가 상당하다"며 "재개발로 동네 주거환경이 개선된 점은 고무적이지만, 입주 후 교통대란이 빚어질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현재는 대학교 방학기간이라 정체가 심하지 않은 편"이라며 "인근에 외대와 경희대, 시립대, 한예종 등 대학교와 초중고 학교가 많아 개학하면 교통량이 급증할 것이 뻔한데 여기에 대단지가 입주하면 교통여건은 급격히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7일 한국외대 앞 이문로 일대에 발생한 교통체증. [사진=청년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835/art_17248298870468_38dd43.png)
실제 지난 27일 재개발 공사가 한창인 해당 지역을 취재한 결과 오후 5시 퇴근시간이 시작되면서 외대앞 이문로에서 휘경로 방향으로 좌회전을 기다리는 차량행렬이 길게 형성되며 극심한 정체가 발생했다.
이렇듯, 인근 주민들은 재개발 단지 입주전 도로 확충이 절실하다는 입장이지만 관할인 서울시와 동대문구청은 현재까지 이렇다할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동대문구청 한 관계자는 "현재 '이문로 일대 교통개선 타당성 조사용역'이 진행 중이고, 도로확장 가능여부는 용역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다"라면서 "해당 도로는 서울시 관할이라 시가 결정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가 진행했던 이 일대 교통문제 관련 타당성 조사 및 투자심의에서는 도로 확충 계획의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 2008년 시에서 해당구역 교통대책과 관련해 투자심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건물 철거와 보상문제, 사유재산 침해 등의 민원 발생 우려로 재검토 결과가 나온 바 있다"며 "도로 확장 여건이 좋지 않은 것은 맞다"고 말했다.
더욱이 현재 동대문구청이 진행중인 타당성 조사용역의 계약 마감일은 당초 10월11일 이었으나, 서울시에 따르면 내년으로 연장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시 말해 이문1구역 입주가 시작된 이후에도 도로 확충 여부조차 결정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타당성 조사용역은 10월11일까지 계약돼 있으나 12월로 연장될 계획이며 자칫하면 내년으로 늦춰질 수 있다는 얘기가 나왔다"며 "재정비 구역에 포함된 도로는 5~6차선으로 확장될 예정이지만 일반도로의 경우 용역결과가 나온 이후에야 확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진행중인 타당성 조사용역은 전면 확장은 불가능하더라도 구간별 확장은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본다"며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시민단체에서는 정부 당국이 아파트 공급 확대에만 치중한 나머지 시민들의 삶의 질을 등한시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한 관계자는 "정부가 아파트 공급물량을 맞추기 위해 온갖 규제를 해체해 마구잡이로 재개발을 허용한 결과 시민들의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됐다"며 "모델하우스만 보고 분양받는 선분양제 보다는 입주 예정자들에게 정보와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는 후분양제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