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발언대] 불안정한 일자리와 '쉬었음'…청년 노동권 보장이 시급하다
【 청년일보 】 대한민국 청년들은 빠르게 변하는 노동시장 속에서 불안정한 일자리와 길어지는 '쉬었음'이라는 이중의 부담을 안고 있다. 아르바이트는 많은 청년에게 사회 진출의 첫걸음이자 생계유지 수단이지만, 저임금과 불안정한 근로 환경 속에서 권리를 보장받지 못한 채, 장기적으로 경제활동에서 이탈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여기에 적합한 일자리 부족과 심리적 불안 등으로 '쉬었음' 상태에 머무르는 청년이 증가하면서 개인의 삶은 물론 사회 전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제 청년 노동 현실은 단순한 고용 문제가 아닌, 노동권 보장과 맞춤형 지원이 절실한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통계청의 '2024년 청년층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10명 중 8명(77.8%)이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용노동부가 2023년 전국 편의점 1천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로감독 결과, 무려 67.4%의 점포에서 근로계약서 미작성, 최저임금 미준수, 연장 수당 미지급 등 법 위반 사례가 적발되었다. 청년유니온의 '2023 청년노동실태조사'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음식점, 카페, 학원 등지에서 무급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는 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