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청소년 알바, 음식점 쏠림 뚜렷…'전단지·편의점' 일자리 위축

디지털 시대 반영…플랫폼·배달·크리에이터로 영역 확장

 

【 청년일보 】 지난해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청소년 가운데 가장 많은 이들이 일한 장소는 음식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단지 배포나 편의점 등 전통적인 일자리는 크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청소년 근로 실태 및 권리보장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근로 경험이 있는 청소년 915명 중 39.3%가 음식점에서 일했다고 답했다. 이는 뷔페·웨딩홀(13.6%), 카페·베이커리(7.2%)보다 크게 높은 수치다.

 

음식점 아르바이트는 2014년 같은 조사에서도 3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한 바 있다. 다만 10년 사이 청소년 아르바이트 업종에는 뚜렷한 변화도 관찰됐다.

 

2014년 당시 두 번째로 비중이 높았던 전단지 배포(22.4%)는 지난해 2.3%로 급감했다. 편의점도 같은 기간 9.3%에서 4.1%로 줄었다. 반면, 플랫폼 기반 아르바이트(5.8%), 배달(3.3%), 콘텐츠 크리에이터(3.3%)는 새로운 선택지로 떠올랐다.

 

이는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디지털 생태계 변화가 청소년 노동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근로 경험 자체는 감소했다. 일을 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4년 25.1%에서 지난해 17.5%로 7.6%포인트 줄었다.

 

근로계약서 작성 비율은 같은 기간 25.5%에서 57.7%로 크게 상승하며 권리 인식 개선이 확인됐다.

 

그러나 부당행위 경험은 여전히 존재했다. 지난해 임금을 적게 받거나 받지 못한 사례는 12.8%, 초과근무 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경우는 13.8%로 나타났다.

 

임금을 제때 받지 못한 비율은 15.5%로, 10년 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업무 외 일을 억지로 했다’는 응답은 10년 전과 동일한 16.1%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