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분기 경제 성장률 0.7%…소비·수출 회복에 '반등'

민간·정부 소비 늘고 반도체 수출 '호조'…내수·순수출이 성장 견인
건설·설비투자 연속 역성장에 경기 불안 지속…제조·서비스는 반등

 

【 청년일보 】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소비와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0.7% 성장했다. 지난 1분기 역성장을 딛고 한 분기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건설·설비투자 부진은 여전히 발목을 잡았다.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치)이 전분기 대비 0.7% 성장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발표된 속보치(0.6%)보다 0.1%포인트 상향된 수치다.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2% '깜짝 성장' 이후 곧바로 2분기 -0.2%로 떨어졌고, 같은 해 3·4분기 모두 0.1%대 정체를 겪었다. 올해 1분기에도 -0.2%로 뒷걸음쳤지만, 2분기 들어 플러스로 돌아서며 연속 역성장은 피했다.

 

부문별로는 민간소비가 승용차·의료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0.5% 늘었고, 정부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증가 영향으로 1.2% 확대됐다. 수출은 반도체·석유화학제품 호조에 힘입어 4.5% 증가했다. 수입 역시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4.2% 늘었지만 수출 증가폭이 더 커 순수출이 성장에 기여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토목 건설 부진 탓에 1.2% 줄었고, 설비투자도 선박·반도체 제조용 기계 위주로 2.1% 감소하며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기록했다. 다만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연구·개발(R&D) 확대에 힘입어 0.8% 증가했다.

 

속보치와 비교하면 건설투자(+0.4%p), 수출(+0.4%p), 지식재산생산물투자(+1.1%p)는 상향 조정됐고, 설비투자는 -0.6%p 하향됐다.

 

2분기 성장률 기여도를 보면 내수와 순수출이 각각 0.4%포인트, 0.3%포인트였다. 내수 기여도는 1분기 -0.5%포인트에서 큰 폭으로 개선됐다. 세부적으로 민간소비·정부소비가 각각 0.2%포인트, 지식재산생산물투자가 0.1%포인트 기여했다. 반대로 건설투자(-0.1%p)와 설비투자(-0.2%p)는 성장률을 깎아먹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운송장비 중심으로 2.5% 성장하며 회복세를 이끌었다. 서비스업도 도소매, 숙박·음식, 운수업 등이 살아나면서 0.8% 증가했다. 모두 1분기 역성장에서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건설업은 건물·토목 부문 모두 부진해 3.6% 급감했고, 전기·가스·수도업도 전기업을 중심으로 5.4% 역성장했다. 농림어업도 농축산업·어업 등 전반적 부진으로 1.2% 줄었다.

 

2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 대비 2.0% 증가했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14조1천억원)이 1분기와 비슷해 명목 GDP 성장률(2.0%)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실질 GNI도 1.0% 늘었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13조원에서 10조2천억원으로 감소했지만,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 무역손실이 13조원에서 8조6천억원으로 축소되면서 실질 GDP(0.7%)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