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 비중이 전체의 4분의 1 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메모리 반도체의 슈퍼사이클 진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최근 해당 업종으로 매수세가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9일 기준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594조9천236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코스피 상장 기업 시가총액 합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51%다.
SK하이닉스 시가총액은 406조2천253억원(10.59%)으로 삼성전자의 뒤를 이었다.
두 종목의 시가총액 비중은 코스피 전체의 26.10%에 달한다. 이는 지난 8월 29일 20.01%보다 6.09%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여기에 삼성전자 우선주(65조1천963억원·1.70%)를 더하면 비중은 27.80%까지 오른다.
당시 시가총액은 삼성전자 412조5천987억원, SK하이닉스 195조8천326억원, 삼성전자우 46조1천841억원이고, 비중은 각각 13.57%, 6.44%, 1.52%였다.
두 달 새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2.07배가 됐고, 삼성전자도 44.2% 급증했다.
두 종목의 시가총액이 이처럼 불어난 것은 미국발 빅테크(거대 기술기업) 훈풍 속에서 국내 반도체 대형주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코스피가 4,000을 돌파한 지난 27일 삼성전자는 10만2천원에 장을 마치며 사상 처음으로 10만원 선을 넘었다. SK하이닉스도 53만5천원으로 신고가를 경신했다.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하며 지난 28일 잠시 주춤했으나 29일에는 삼성전자(10만500원)와 SK하이닉스(55만8천원) 모두 상승 마감했다.
시장에서는 반도체주의 호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키움증권 박유악 연구원은 내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삼성전자는 80조원, SK하이닉스는 65조원으로 상향하면서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점유율 확대와 범용 D램 가격 상승 영향 등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