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국산 화장품이 미국 주류 유통업체 상품 진열대에 빠르게 침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NBC는 27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 ‘닐슨IQ’ 분석을 인용, 올해 미국 내 K뷰티 매출이 약 20억달러(약 2조9천억원)로 전년 대비 37% 급증할 것으로 추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화장품 업계 전반이 부담을 안고 있음에도, K뷰티는 미국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다.
닐슨IQ 뷰티산업 부문의 테레세-앤 드 암브로시아 부사장은 CNBC에 미국 내 K뷰티 진입에 대해 "성장세가 매우 놀라운 수준"이라며 "전체 미국 뷰티 시장 성장률이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는데 K뷰티는 현재 확실히 다른 속도로 나아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초화장품이 매출 확대를 주도하고 있으며 색조나 자외선차단 기능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상품들도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닐슨IQ는 분석했다.
미국의 주요 유통기업들도 K뷰티를 찾는 소비자들의 관심 확대를 놓치지 않고 있다.
한국의 올리브영과 유사한 화장품 매장 울타(ULTA)는 지난 1분기 한국산 화장품 매출이 38% 급증했다고 밝힌 바 있다. 2분기 들어서도 K뷰티 파트너십 효과로 월가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울타는 지난 7월 K뷰티 전문 편집 플랫폼인 'K뷰티 월드'와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산 화장품 판매 강화에 나섰다. 화장품 유통업체 세포라도 뉴욕 타임스스퀘어의 플래그십 매장 한쪽 벽면을 K뷰티 제품으로 꾸미고, K뷰티 브랜드들과 독점 공급 계약을 맺고 있다.
월마트, 코스트코 같은 대형마트들도 소비자 수요 증가에 맞춰 에센스, 세럼, 마스크팩 등 K뷰티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미국 내 K뷰티 급성장의 핵심 요인으로는 틱톡과 같은 SNS에서의 바이럴(입소문) 마케팅이 꼽힌다.
CNBC가 인용한 퍼스널케어인사이트의 보고서에 따르면 K뷰티 소비자의 약 4분의 3은 MZ세대가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틱톡에서 제품 정보 얻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호바스 교수는 틱톡이 판도를 바꿨다며 제품 혁신에 대해 소비자에게 알리고 입소문을 내기가 더 쉬워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2010년대에도 K뷰티 상품들이 미국 시장에 소개되는 '1차 물결'이 있었지만, 최근의 '2차 물결'은 성장 속도가 훨씬 빠른 것은 물론 제품군이 색조, 헤어·두피케어, 바디케어, 피부관리기기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된 데다 대상 소비자층도 확대됐다는 점이 다르다고 CNBC는 소개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K뷰티 열풍이 틱톡 입소문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닐슨IQ의 드 암브로시아 부사장은 "단일 플랫폼에 성장이 집중돼 있을 때 추천 알고리즘 변경이 하룻밤 사이 제품 노출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그동안 우리는 플랫폼들이 추천 알고리즘을 수정할 때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 봐왔다"고 전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