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3.3℃
  • 맑음강릉 2.8℃
  • 맑음서울 -1.3℃
  • 맑음대전 0.4℃
  • 맑음대구 3.7℃
  • 맑음울산 3.9℃
  • 구름조금광주 5.2℃
  • 맑음부산 5.1℃
  • 구름많음고창 4.8℃
  • 구름많음제주 9.8℃
  • 구름조금강화 -1.9℃
  • 맑음보은 -1.3℃
  • 맑음금산 1.1℃
  • 구름많음강진군 6.1℃
  • 맑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5.5℃
기상청 제공

"관세전쟁에 中 제조업 지배력 강화"…韓 산업 압박 불가피

"중국, 수출국 다변화에 AI 등 첨단기술 경쟁력까지"

 

【 청년일보 】 미·중 관세 전쟁의 장기화 속에서 중국이 미국 의존도를 줄이며 신흥국 중심으로 수출 시장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단기적으로는 미국산 수요 감소를 상쇄하는 효과가 나타났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중국 제조업의 글로벌 지배력을 더욱 강화시키며 한국 등 경쟁국에 구조적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경고다.


한국은행은 지난 27일 발표한 ‘최근 중국의 수출국 다변화 가속화 현상 평가’ 보고서에서 “미국의 관세정책이 일부 완화되더라도 미·중 기술·안보 경쟁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은 앞으로도 수출 대상국 다변화 전략을 유지·확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통관 기준 수출 증가율은 올해 1분기 5.6%에서 2분기 6.1%, 3분기 6.5%로 분기마다 상승세를 이어갔다. 대미 수출이 관세 압박으로 2·3분기 동안 26% 급감했음에도, 같은 기간 EU·아세안·아프리카 등 미국 외 지역으로의 수출은 12% 늘며 전체 감소분을 상당 부분 상쇄했다.


그 결과 중국 수출의 특정 국가 집중도를 보여주는 HHI(허핀달·허쉬만 지수)는 올해 들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는 중국의 수출 시장이 더 넓고 고르게 분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은은 이러한 흐름이 단순한 영향권 이동을 넘어 구조적 변화를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미국 이외 국가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며 “AI 등 첨단 기술이 중국 제조업 경쟁력과 결합할 경우 ‘세계의 공장’으로서 중국의 위상은 오히려 강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중국 제조업의 글로벌 지배력이 확대될 경우 한국·독일·일본 등 제조업 기반 국가의 경쟁 환경은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며 공급망 재편 대응 전략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