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의 절반 가까이는 양질의 일자리 확보에 대한 불안감에 부모보다 더 나은 직업을 갖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고용노동부가 만 18~34세 청년 1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청년고용정책인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 전체 53%만이 '보모 세대보다 괜찮은 일자리를 가질 수 있다'고 기대했다.
특히 청년들은 기업의 고용과 근로 관행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능력 중심으로 채용하고 그에 따른 임금을 주고 있다고 답한 청년은 43.2%로 기업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청년 고용 시 양성이 평등하게 대우받는다고 답한 비율이 33.0%에 그쳤다.
청년들이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임금과 복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 38.3%가 직장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1순위로 임금과 복지수즌을 꼽았다. 흥미에 맞는 직무는 16.1%에 불과했다.
아울러 고용 문제 해결을 위한 우선 과제로 청년 일자리의 질적 개선이 57.3%로 가장 많았으며, △일자리 확보 42.8% △다양한 유형의 일자리 정규직화 31.7% △정규직-비정규직 격차 완화 30.4% 등 순이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달 11월 20∼30일 권역별로 면접조사와 온라인 조사로 나뉘어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 2.45%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