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5.9℃
  • 구름조금강릉 29.5℃
  • 구름많음서울 26.0℃
  • 구름많음대전 25.4℃
  • 흐림대구 27.0℃
  • 흐림울산 25.0℃
  • 흐림광주 23.6℃
  • 흐림부산 25.1℃
  • 흐림고창 23.3℃
  • 제주 22.8℃
  • 구름많음강화 23.7℃
  • 구름많음보은 23.8℃
  • 구름많음금산 24.1℃
  • 흐림강진군 22.1℃
  • 흐림경주시 26.8℃
  • 흐림거제 24.0℃
기상청 제공

직장인 12.3% '직장 내 자발적 아웃사이더'...그 이유는?

<제공=잡코리아>

직장인 10명 중 4명이 직장의 '아웃사이더'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특히 이들 중 12.3%는 스스로 아웃사이더이기를 택한 '자발적 아웃사이더'로 드러났다.

3일 잡코리아가 최근 직장인 1402명에게 '아웃사이더'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직장인 중 37.4%가 자신이 직장 내에서 아웃사이더라고 응답했다. 

직급별로는 '사원급'이 42.5%로 가장 많은 가운데 △부장급 39.7% △대리급 34.5% △과장급 33.4%의 순으로 이어졌다. 

성별로는 여성(39.0%)이 남성(36.4%)에 비해 아웃사이더라고 인식하는 비중이 소폭 높았다.

직장 내 아웃사이더로 지내는 직장인 중 상당수는 자발적 아웃사이더였다. 전체 직장인의 12.3%(아웃사이더라고 답한 직장인의 33.0%)가 '내가 원해서 아웃사이더로 지낸다'고 응답했다.

반면 '원치 않게 아웃사이더가 되고 말았다'는 응답은 9.9%로 극소수에 불과했다. 나머지 57.1%는 '자의 반 타의 반'이라고 답했다. 

특히 자발적 아웃사이더가 됐다는 응답은 사원급에서 14.2%로 두드러졌다. 대리급과 과장급은 각각 11%대, 부장급에서는 6.9%의 응답을 얻는 데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직장인이 직장 내에서 아웃사이더로 지내는 주요 이유(복수응답)는 가치관 차이 때문이었다. 조사 결과 '직장동료들과 관심사, 가치관이 달라서(45.0%)'와 '조직, 인간관계에 피로감을 느껴서(43.0%)'가 각각 40%를 웃도는 높은 응답률로 1, 2위를 다퉜다.

또 △개인주의, 혼자가 편하고 익숙해서(37.3%) △평소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어서(21.3%) △이직 및 퇴사를 준비하고 있어서(21.1%)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여기에 △점심, 회식, 번개 등 인간관계에 드는 비용이 부담스러워서(18.9%) △다른 사람보다 내 자신에게 더 집중하기 위해(16.0%) △사소한 업무갈등을 계기로(15.8%) △어쩌다 보니, 알 수 없는 이유로(13.1%) 아웃사이더가 됐다는 응답도 있었다.

아웃사이더로 지내는 직장인들은 이 생활의 장점도 분명히 있다고 입을 모았다. 아웃사이더로 지내서 좋은 점(복수응답)으로 53.1%가 '다른 사람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또 △퇴근 후 불필요한 회식 등으로 시간을 빼앗기지 않는다(40.6%) △일에만 집중할 수 있어 업무효율이 높다(32.6%) △나의 라이프스타일, 관심사를 고수할 수 있다(24.2%) △사람들이 함부로 대하지 않는다(22.3%)도 아웃사이더의 대표적인 장점이었다. 이밖에 '오로지 업무, 성과로만 평가받는다(20.0%)', '비용 부담이 덜하다(19.6%)', '뜬소문, 카더라 통신에 일희일비 하지 않는다(17.3%)' 등의 장점도 있었다.

반면 아웃사이더로 지내서 힘든 점(복수응답)으로는 '직장생활이 권태롭고 재미없다(39.6%)'가 대표적이었다. 여기에 '회사, 조직 내 중요한 이슈나 소식을 잘 듣지 못한다(32.4%)', '인간관계나 인성 등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지적 받곤 한다(31.6%)'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이밖에 △실제로 내는 업무성과보다 저평가 되는 등의 불이익을 받는다(23.0%) △진의와 다르게 왜곡되거나 오해받는다(22.5%) △주위 시선에 자주 위축된다(22.3%) △다른 사람과의 협업이 원활치 않아 업무에 어려움을 겪는다(20.4%) 등의 애로사항을 호소하기도 했다.

한편 많은 직장인들이 여전히 개인과 조직 중에는 조직에 더 무게중심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보다 조직에 집중하는 전체주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은 결과 '소속감, 협업을 통해 업무능률 및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긍정적이라 답한 의견이 41.3%로 나타났다. 조직보다 개인에 집중하는 개인주의가 '자율성과 개성이 혁신, 업무 성과로 이어질 수 있어 긍정적(31.1%)'이란 응답보다 10%P 이상 높은 수치였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