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정부가 매년 7만호 상당의 물량을 통합공공임대 형식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장기간의 거주 보장으로 그동안 제기되어왔던 퇴거 리스크도 점차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공공임대주택은 최대 30년 동안 거주할 수 있으며 기존의 영구임대·국민임대·행복주택 등 복잡한 임대유형을 통합한 것으로 입주 자격과 공급기준을 단일화한 것이 특징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내년 1월 중 과천 지식정보타운, 남양주 별내 등 선호 입지에 1천181호 규모의 첫 입주자를 모집하는 것을 시작하겠다"며 "통합공공임대로 앞으로 매년 7만호 수준의 물량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통합공공임대 시행에 따라 향후 30년 거주 보장으로 입주 후 거주하면서 소득수준이 증가해 입주 자격이 변경되어 발생했던 퇴거 리스크도 점진적으로 해소될 전망이다.
통합공공임대 입주 자격은 세대의 월평균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이고, 총자산이 소득 3분위(5분위 기준) 순자산 평균값(지난해 2억8천800만원) 이하인 무주택 가구 구성원이 입주 대상이다.
한편 정부는 중형주택 도입계획도 밝혔다. 중형주택 도입계획은 올해 1천호, 내년 6천호, 2023년 1만1천호, 2024년 1만5천호, 2025년 이후 2만호 등이다.
홍 부총리는 "통합공공임대와 연계해 3∼4인 가구가 선호하는 중형주택(전용면적 60∼85㎡)도 신규 도입하고 질적인 측면에서도 분양주택 수준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 밖에도 이달에는 연중 최대 물량인 1만7천호의 사전청약을 시행하고 2·4대책 본지구 8곳을 지정하는 등 주택공급을 위한 가시적 조치들이 이뤄질 예정"이라며 "정부는 최근 주택시장 안정세가 시장에 확고히 자리 잡도록 총력 경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