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지난달 명절을 앞두고 농축산물 물가가 뛰면서 생산자물가가 0.4% 상승했다. 아울러 여름철 전기요금 누진 구간 완화, SKT 8월 통신요금 할인 등 일시적 요인도 기저효과로 작용했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 물가지수는 120.54(2020년 수준 100)로, 전월 대비 0.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수는 지난 8월 SK텔레콤 요금 인하 효과에 0.1% 하락했으나 지난달 상승 전환했다. 품목별로 보면, 축산물(2.0%)과 농산물(0.5%)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0.4% 높아졌다. 공산품은 화학제품(0.5%), 1차금속제품(0.7%)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주택용 전력(14.4%)과 산업용 도시가스(5.8%)가 오르면서 1.1% 높아졌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4.0%)와 금융및보험서비스(1.4%) 등을 중심으로 0.4% 상승했다. 세부품목 중에서는 쌀(4.7%), 상추(38.9%), 쇠고기(6.9%), 돼지고기(3.3%)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쌀, 상추 등 채소류는 출하 시기에 잦은 강우로 인해 수확과 출하가 늦어졌다"며 "쇠고기와 돼지
【 청년일보 】 10월 중순까지 우리나라 수출이 지난해보다 7.8% 감소했다. 예년보다 긴 추석 연휴에 더해 미국발 관세 부담이 겹치면서 대미 수출이 큰 폭으로 줄었다. 다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오히려 1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수출액은 301억5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27억2천만달러)보다 25억7천만달러(7.8%) 감소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10.5일로 지난해(12.5일)보다 2일 적었으며, 이를 감안한 일평균 수출액은 28억7천만달러로 전년 동기(26억2천만달러) 대비 9.7%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대미 수출이 24.7% 급감하며 부진을 주도했다.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축소에 더해 최근 강화된 미국의 관세 조치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베트남(-10.0%), 중국(-9.2%)도 감소한 반면, 대만(58.1%), 홍콩(4.9%), 싱가포르(5.3%) 등은 증가세를 보였다. 품목별로는 반도체(20.2%)·석유제품(10.9%)·선박(11.7%) 등이 호조를 보이며 수출을 방어했으나, 승용차(-25.0%)·무선통신기기(-17.7%)는 크게 줄었다.
【 청년일보 】 '트럼프 관세' 여파로 한국의 대미(對美) 자동차 수출이 7개월 연속 감소한 반면, 유럽과 아시아 시장에서의 수출이 큰 폭으로 늘며 전체 자동차 수출은 4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9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6.8% 증가한 64억1천만달러로, 역대 9월 기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추석 연휴가 10월로 밀리며 조업일수가 늘어난 점도 수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1∼9월 누적 수출액은 541억달러로,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 자동차의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으로의 수출액은 23억8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5% 감소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부터 모든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이후 대미 수출은 ▲3월 -10.8% ▲4월 -19.6% ▲5월 -27.1% ▲6월 -16.0% ▲7월 -4.6% ▲8월 -15.2% ▲9월 -7.5% 등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국내 완성차 업계의 수익성도 일부 타격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유럽과 아시아 시장
【 청년일보 】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순위가 세계 34위에서 37위로 세 계단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대만은 22년 만에 한국을 추월하며 경제력 '역전'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20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IMF는 지난 15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를 3만5천962달러로 예상했다. 지난해(3만6천239달러)보다 0.8% 감소한 수치다. 이에 따라 IMF 통계에 포함된 197개국 중 한국의 순위는 지난해 34위에서 올해 37위로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IMF는 한국이 2028년 1인당 GDP 4만802달러로 '4만달러 시대'를 1년 앞당겨 열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4월 전망에서는 2029년을 돌파 시점으로 봤으나, 성장 속도가 다소 개선될 것으로 예측한 것이다. 그러나 세계 순위는 올해 37위에서 내년 38위로, 2028년 40위·2029년 41위로 계속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대만의 올해 1인당 GDP를 3만7천827달러로 전망했다. 지난해(3만4천60달러)보다 11.1% 증가하며 순위도 38위에서 35위로 세
【 청년일보 】 정부가 생산·소비 등 주요 경제지표가 전반적인 개선 흐름을 보이며 상반기의 부진 국면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건설투자 회복 지연과 대외 통상환경 불확실성 등은 여전히 경기 하방요인으로 지목됐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표한 '10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생산·소비 등 주요 지표가 월별 등락 속에서도 전반적으로 개선 흐름을 보이며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특히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정책효과가 가시화되면서 "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신호가 강화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8월 전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건설업(-6.1%)과 서비스업(-0.7%)은 감소했으나, 광공업 생산이 2.4%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완만한 회복 흐름을 이끌었다. 소매판매(-2.4%)와 설비투자(-1.1%)는 감소세를 보였지만,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74.7%로 상승하며 향후 설비투자 확대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반면, 국내 기계수주가 전년 동월 대비 9.2% 감소해 일부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정부는 밝혔다. 속보성 지표에서는 소비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지난달 국내 카드 승인액은 전년 동월 대비 8.5%
【 청년일보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이 요구한 3천500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 선불 요구과 관련해 한국 정부의 우려사항을 전달했으나 설득 여부는 미지수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방미 중인 구 부총리는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특파원단과 만나 이같이 밝히며 "3천500억 달러 '업 프론트'(up front·선불)를 빨리 하라는 것이 미국의 이야기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실무 장관은 (전액 선불 투자가 어렵다는 한국 정부 입장을) 이해하고 있는데, 얼마나 대통령을 설득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하느냐 하는 부분은 진짜 불확실성이 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전날 만나 대미 투자 선불 요구가 한국 외환시장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다. 그는 "외환 사정상 한국이 그렇게 하기 어렵다는 것을 베선트 장관에게 말했고 베선트 장관은 한국이 한꺼번에 선불로 내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베선트 장관에게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행정부 내부에 (한국 입장을) 이야기해달라고 요청했고, 자기가 충분히 설명하겠다는 긍정적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구
【 청년일보 】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수입 물가가 3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17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5.43으로, 8월(134.21)보다 0.2% 올랐다. 수입물가지수는 7월부터 석 달 연속 오름세다. 원재료는 원유가 올랐으나 천연가스(LNG)가 내리면서 광산품(-0.2%)을 중심으로 0.1% 내렸다. 중간재는 1차금속제품(1.3%), 컴퓨터·전자·광학기기(0.7%), 석탄·석유제품(1.3%) 등이 오르면서 0.5% 상승했다. 자본재는 0.2% 하락했으나, 소비재는 0.1%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커피(7.6%), 제트유(3.4%), 동정련품(3.1%), 기타귀금속정련품(4.5%), 신선수산물(3.4%) 등의 상승 폭이 컸다. 한은에 따르면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서 수입 물가가 올랐다. 원·달러 환율은 올 8월 평균 1,389.66원에서 9월 1,391.83원으로 0.2% 상승했다. 같은 기간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69.39달러에서 70.01달러로 0.9% 올랐다. 이문희 한은
【 청년일보 】 건설업 부진이 이어지며 생산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소비 부진은 점차 완화되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6일 발표한 '10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업 위축으로 낮은 생산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소비 부진은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지난달 보고서에서 내놨던 '건설투자 부진', '소비 중심의 경기 부진 완화'라는 진단을 그대로 유지한 것이다. KDI는 건설경기 침체가 전반적인 산업 생산 둔화를 이끄는 주요 요인이라고 짚었다. 8월 건설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7.9% 감소해 전달(-14.0%)보다 감소 폭이 더 커졌고, 이에 따라 전산업생산은 0.3% 감소로 전환했다. 고용시장 역시 건설업을 중심으로 둔화세를 보이며, 같은 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16만6천명으로 전달(17만1천명)보다 줄었다. 특히 건설업 취업자 수는 13만2천명 감소해 전체 고용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반면 소비와 제조업은 일부 개선 흐름을 보였다. KDI는 "승용차 소매판매가 높은 증가세를 이어가며 제조업 지표 개선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8월 승용차 소매판매는 개별소비세 인하 효과로 13.
【 청년일보 】 가계대출 증가세가 9월 들어 급격히 둔화됐다. 정부의 6·27 대출 규제 대책과 비(非)이사철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줄었고, 신용대출은 한도 축소와 부실채권 상각 등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은행(한은)이 16일 발표한 '9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천170조2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원 증가했다. 이는 8월(4조원 증가)의 절반 수준이며, 6월(6조2천억원) 이후 가계대출 증가 폭이 3개월 만에 다시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2조5천억원 늘었지만, 전세자금 수요가 줄면서 증가 폭은 7∼8월보다 둔화했다.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5천억원 감소,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6·27 대책 영향이 이어진 데다 7∼8월 이사철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전세자금 수요가 적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며 "기타 대출은 신용대출 한도 축소 효과가 지속되고,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영향까지 더해져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같은 날 발표한 '9월 가
【 청년일보 】 가계의 여윳돈이 석 달 만에 40조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감소와 함께 주택 등 실물자산 구매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한은)이 16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와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액은 51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분기(92조9천억원)보다 41조6천억원 줄어든 수준으로, 지난해 2분기(-45조6천억원)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순자금 운용액은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 조달한 자금과 운용한 자금의 차이를 의미한다. 통상 가계는 잉여 자금을 예금이나 투자 형태로 운용하며, 정부나 기업의 자금 조달원 역할을 해왔다. 김용현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1분기의 상여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가계소득이 감소했고, 아파트 등 실물자산 투자가 확대돼 여유 자금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가계의 자금 운용 규모(조달액 제외)는 2분기 76조9천억원으로, 1분기(101조2천억원)보다 25조원가량 감소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금융기관 예치금이 15조2천억원,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가 11조4천억원 각각 줄었다. 가계의 자금 조달 규모는 2분기 25조6천억원으로, 1분기(8
【 청년일보 】 정부의 재정적자 폭이 올해 8월 말 기준 88조원을 넘어, 코로나19 사태가 정점을 찍던 2020년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를 기록했다. 세입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출이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재정 건전성 악화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16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총수입은 431조7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조원 증가했다. 지난해 기업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면서 법인세가 17조8천억원 늘었고, 성과급 지급 확대와 해외 주식시장 호조 등으로 소득세도 9조6천억원 증가해 세수 회복세를 견인했다. 이 밖에도 세외수입은 22조8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2천억원 늘었고, 기금수입 역시 148조1천억원으로 4조2천억원 증가했다. 반면 총지출은 485조4천억원으로,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기준 지출 진도율은 69%에 달했다. 이에 따라 통합재정수지는 53조7천억원 적자, 관리재정수지는 88조3천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팬데믹 대응으로 대규모 재정지출이 이뤄졌던 2020년의 96조원 적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준이다. 작년 같은 기간(84조2천억원 적자)보다 적자 폭이 4조
【 청년일보 】 실업급여(구직급여) 지급액이 8개월 연속 1조원을 넘어서는 등 고용시장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다. 비자발적 실직자가 늘어나며 구직급여 지급액이 역대 최장기간 1조원을 웃돌았고,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는 20년 넘게 이어온 통계 중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67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9%(1천48억원) 증가했다. 구직급여는 올해 2월부터 9월까지 8개월 연속 월 1조원을 넘겼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장 기록으로, 이전에는 2021년 2월부터 8월까지 7개월 연속 1조원을 초과한 것이 최장이었다. 올해 누적 지급액은 9조6천303억원에 달했다.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피보험자가 늘고 구직급여 지급액 단가가 계속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10월 통계부터는 구직급여 지급액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 연말이 될수록 구직급여 지급 만료가 늘어 지급액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서다. 실직자 증가세는 통계에서도 뚜렷하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9천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천명(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