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 중이다. 31일 신규 확진자 수는 1천300명대 후반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372명 늘어 누적 25만1천42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486명·당초 1천487명에서 정정)보다 114명 줄면서 지난 17일(1천372명) 이후 2주 만에 1천300명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이는 주말·휴일 검사수 감소 영향이 한꺼번에 반영된 결과여서 확산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보통 주 초반에는 확진자 수가 적게 나오고 중반 시작점인 수요일부터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지난달 초부터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은 전국적으로 확산세를 더해가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천211명)부터 56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달 25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2천154명→1천882명→1천838명→1천791명→1천619명→1천486명→1천372명을 기록하며 하루 최소 1천300명 이상씩 나왔고, 많게는 2천명 안팎을 오갔다. 1주간 하루 평균 1천735명꼴로 나온 가운데 지역발생은 일
【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 신규 확진자 수는 1천400명대 후반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이는 주말·휴일 검사수 감소 영향이 한꺼번에 반영된 결과여서 확산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실제로 일요일 상황이 반영된 월요일 통계만 놓고 보면 2주 전인 16일의 1천555명보다 68명 적지만 지난주인 23일의 1천417명보다는 오히려 70명 많다. 특히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가 계속 확산하는 데다 내달 전국적 대규모 이동이 예상되는 추석 연휴도 앞두고 있어 확진자 규모는 언제든 다시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30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487명 늘어 누적 25만5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619명)보다 132명 줄면서 1천400명대를 기록했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 경로를 보면 지역 발생이 1천426명, 해외유입이 61명이다. 지난달 초부터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은 전국적으로 확산세를 더해가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천211명)부터 55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달 24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
【 청년일보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4단계·비수도권 3단계)는 내달 5일 종료된다. 추석 연휴 기간에 적용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대책이 내달 3일 발표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9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추석 연휴 특별 방역대책에 대해 "여러 의견을 수렴해 검토하고 금요일(9월 3일)에 그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29일 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코로나19 진단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총 1천133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같은 시간에 집계된 1천308명보다 175명 적다. 지난주 일요일(22일)의 오후 6시 집계치 1천184명보다도 51명 적다. 주말·휴일 검사건수 감소 영향이 한꺼번에 반영되면서 확진자도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수도권이 702명(62.0%), 비수도권이 431명(38.0%)이다. 시도별로는 서울 380명, 경기 266명, 대구 76명, 부산·충남 각 57명, 인천 56명, 경남 47명, 경북 40명, 충북 34명, 광주 25명, 대전 24명, 강원 22명, 전남 15명, 제주 12명, 전북
【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29일 신규 확진자 수는 1천600명대 초반을 기록했다. 지난주 일요일(22일 0시 기준)의 1천626명, 2주 전 일요일(15일)의 1천816명보다는 각각 7명, 197명 적다. 그러나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가 이미 국내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데다 내달 전국적 이동이 예상되는 추석 연휴도 앞두고 있어 확진자 규모는 언제든 다시 커질 수 있다. 이에 정부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와 별개로 추석 연휴 특별방역대책도 늦어도 31일까지 마련해 발표하기로 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9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619명 늘어 누적 24만8천568명이라고 밝혔다. 주말 검사수 감소 영향으로 전날(1천793명)보다 174명 줄면서 일단 1천600명대로 떨어졌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천211명)부터 54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달 23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천417명→1천507명(애초 1천508명에서 정정)→2천154명→1천882명→1천840명(애초 1천841명에서
【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이어지고 있다. 4차 대유행이 두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 비율도 연일 30%대 최고치를 오르내리고 있어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793명 늘어 누적 24만6천95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841명)보다 48명 줄었지만 1천800명에 육박했다. 1주일 전인 지난주 토요일(21일 0시 기준)의 1천877명, 2주 전 토요일(14일)의 1천928명보다는 각각 84명, 135명 적다. 그러나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가 이미 국내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고 내달 전국적 이동이 예상되는 추석 연휴도 앞두고 있어 확진자 증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천211명)부터 53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달 22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천626명→1천417명→1천508명→2천154명→1천882명→1천841명→1천793명을 기록하며 하루 최소 1천400명 이상씩 나왔고, 많게는 2천명 안팎을
【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이어지면서 27일 신규 확진자 수는 1천800명대 중반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7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841명 늘어 누적 24만5천158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882명)보다 41명 줄면서 이틀째 1천800명대로 집계됐다.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속출하는 데다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가 국내 우세종으로 자리를 잡은 터라 확진자 규모는 언제든 다시 커질 수 있다. 또 감염경로를 조사 중인 확진자 비율도 연일 30%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어 추가 확산 우려도 큰 상황이다. 방역당국은 4차 대유행이 두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상황에도 촉각을 세우면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천211명)부터 52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달 21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천877명→1천626명→1천417명→1천508명→2천154명→1천882명→1천841명을 기록하며 하루 최소 1천400명 이상씩 나왔고, 많게는 2천명 안팎을 오갔다. 1주간 하루
【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지속 중이다. 50일 넘게 네 자릿수 확진자가 이어지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가파르게 늘고 있어 당국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6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882명 늘어 누적 24만3천317명이라고 밝혔다. 전날(2천154명)보다는 272명 줄어 하루 만에 다시 2천명대 아래로 내려왔다. 그러나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가 갈수록 기승을 부리고 있다. 2학기 개학 이후 학교 집단발병을 비롯해 곳곳에서 산발적 감염이 잇따르고 있어 확진자 규모는 언제든 다시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초부터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은 두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 확산세를 더하고 있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천211명)부터 51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달 20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2천50명→1천877명(당초 1천879명에서 정정)→1천626명→1천417명→1천508명(당초 1천509명에서 정정)→2천154명(당초 2천155명에서 정정)→1천882명을 기록하며 하루 최소 1천
【 청년일보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하루 네 자릿수 확진자가 연일 쏟아지면서 일부 지역의 병상 부족이 현실화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환자 대응 여력이 있어 치료에 차질이 생기는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하면서도 확진자 지속 증가 가능성에 대비해 병상을 계속 확충해 나가고 있다. 25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전국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 병상 총 833개 중 252개(30.3%)가 비어 있는 상태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이미 병상 여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전, 세종, 충남은 각각 확보한 병상 중 1개만 더 이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전국의 준-중환자(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 가능성이 높은 환자) 병상은 438개로, 이 중 156개(35.6%)가 남아 있다. 준-중환자 병상 역시 일부 지역의 경우 이미 한계에 달했다. 인천과 경북은 확보한 병상이 모두 차 있어 입원 가능한 병상이 없으며, 전남은 병상이 1개만 남아 있다. 중수본은 당장 중환자 병상에 차질이 빚어질 정도의 상황은 아니지만 추후 확진자 증가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
【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지속 중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5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2천155명 늘어 누적 24만1천439명이라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 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천114명, 해외유입이 41명이다. 전날(1천509명)보다 무려 646명 늘면서 지난 20일(2천50명) 이후 닷새 만에 다시 2천명을 넘어 2천100명대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다를 기록한 지난 11일(2천221명)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지난달 초부터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의 기세는 두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좀처럼 잦아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천211명)부터 50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달 19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2천152명→2천50명→1천879명→1천627명→1천418명→1천509명→2천155명을 기록하며 하루 최소 1천400명 이상씩 나왔고, 2천명을 넘긴 날도 3차례나 된다. 주요감염사례를 보면 수도권에서는 기존 집단발병의 감염 규모도 꾸준히 커지는 형국이다. 서울 동대문구의 한 음악 연습실
【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하루 네 자릿수 확진자가 연일 발생하면서 일부 지역의 병상 부족 우려도 현실화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의료체계에 일정 정도 여력이 있어 치료에 차질이 생기는 상황은 아니지만 확진자 지속 증가 가능성에 대비해 병상을 계속 확충해 나가기로 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전날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을 기준으로 수도권에 118개, 비수도권에 154개 등 총 272병상을 추가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중수본은 기존 계획에 따라 이번에 272개 병상을 확보했다. 이와 별개로 오는 26일부터는 중수본이 앞서 지난 13일 내린 행정명령에 따라 병상이 순차적으로 확충된다. 중수본은 당시 행정명령을 통해 중증환자 전담병상 171개, 중등증 전담치료병상 594개를 확충한다고 발표했다. 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전국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 병상 총 833개 중 252개(30.3%)가 비어 있는 상태다. 전국의 준-중환자(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 가능성이 높은 환자) 병상은 438개로, 이 중 152개(34.7%)가 남아 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
【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국내 체류 외국인의 감염 비율이 13.6%까지 높아지고 일부 지역에서는 확진자 3명 중 1명꼴로 외국인일 정도로 확산세가 심각해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외국인 밀집거주 지역이나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일터에 대해 선제검사를 확대하고 현장점검도 한층 강화해달라"고 주문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4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509명 늘어 누적 23만9천287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418명)보다 91명 늘었다. 지난달 초부터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의 기세는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천211명)부터 49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달 18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천804명→2천152명→2천50명→1천879명(당초 1천880명에서 정정)→1천627명(1천628명에서 정정)→1천418명→1천509명을 기록하며 하루 최소 1천400명 이상씩 나왔고, 많게는 2천명 안팎을 오갔다. 1주간 하루 평균 1천777명꼴로 확진자가 나
【 청년일보 】강한 비바람을 동반해 올해 우리나라에 상륙한 첫 태풍 '오마이스'에 밤사이 건물 침수와 도로 유실 등 피해가 잇따랐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태풍이었지만 시설물 피해는 적지 않았다.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오마이스에 따른 인명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경남 통영에서 이재민 2세대 10명이 발생했다. 부산 동구, 창원, 전남 순천, 담양 등의 피해 우려 지역에서 사전대피한 인원은 840세대 1106명에 이른다. 소방당국은 모두 11명을 구조했다. 또 807명과 장비 120대를 동원해 35곳에 269t의 급수지원과 84건의 안전조치를 수행했다. 곳곳에서 태풍이 동반한 비바람에 침수 피해가 잇따랐다. 경남 사천과 울산에서 상가 21동이 침수됐고 경남 통영 등에서는 주택 3동이 물에 잠겼다. 경전선 진영∼진례 구간이 선로 침수와 토사 유입으로 이날 오전 1시께 운행 중단됐다. 경남 거제시 국지도 585호선과 부산 과정교차로·신금로·거제천로·세병로·덕포시장 일대, 울산 울주군 온산읍 국도 31호선, 전남 여수 여수수산시장 보행로 등 도로 6곳에서 침수·사면유실 피해가 발생했다. 울산과 부산에서는 모두 217호가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