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우유.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731/art_17223164614746_43cd3d.jpg)
【 청년일보 】 낙농가와 유업계가 올해 우유 원유(原乳) 가격을 동결하기로 했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올해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동결하거나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을 고려했다.
먼저 흰 우유 등 신선 유제품 원료인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동결하고 치즈, 분유 등 가공 유제품에 쓰는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L당 5원 인하하기로 했다.
이에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L당 1천84원으로 유지되고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887원에서 내달 1일부터 882원으로 더 낮아진다.
앞서 낙농진흥회는 지난달 11일부터 원윳값 협상 소위원회를 구성해 14차례에 거쳐 협상을 진행해 왔다.
올해 원윳값은 농가 생산비와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해 L당 26원(음용유 기준)까지 인상할 수 있었으나 최근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해 올해는 가격을 동결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사료비 상승 등에 따라 생산자는 협상 최대치인 L당 26원 인상을 요구했으나 우유 소비 감소, 멸균유 수입 증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유업계는 동결을 요구하면서 협상이 한때 교착 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그러나 어려운 물가 상황, 산업 여건 등을 고려해 상생 차원에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원윳값은 2019∼2020년에는 L당 926원이었으나 2021년 947원으로 인상됐다. 그러나 2022년 협상에서 낙농제도를 개편하며 지난해부터 원윳값을 음용유와 가공유로 나눠 책정하고 있다.
이후 지난해 1월부터 음용유 기준 원윳값은 L당 996원, 지난해 10월부터는 1천84원으로 올랐다. 2020년 이후 4년 만에 음용유 기준으로 원윳값이 동결된 것이다.
원윳값 동결에 따라 유제품 가격도 유지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서울우유협동조합, 매일유업, 남양유업 등 주요 유업체는 흰 우유 제품 가격을 동결할 예정이다.
또 과자, 빵, 아이스크림 등 우유가 들어가는 제품 가격이 오르는 '밀크플레이션'(우유+인플레이션)도 없을 전망이다.
낙농진흥회는 용도별 원유 구매량 협상에서는 음용유를 9천t(톤) 줄이는 대신 가공유를 9천t 늘리기로 결정했다.
음용유 구매량이 줄어든 것은 지난해 낙농제도 개편 이후 처음으로 이번 구매량은 내년 1월부터 2년간 적용된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