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국내 검색 시장의 지형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네이버와 다음과 같은 토종 포털의 점유율이 감소하는 반면, 글로벌 IT 기업인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Bing)'이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10일 웹로그 분석 사이트 인터넷트렌드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8월 7일 기준으로 국내 웹 검색 시장에서 네이버는 54.26%의 점유율로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구글이 37.61%로 빠르게 뒤를 쫓고 있으며, MS의 빙이 3.83%로 3위에 올라섰다. 다음은 3.14%로 4위를 기록하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눈에 띄는 점은 구글과 빙의 합산 점유율이 41.44%에 달한다는 것이다. 이 두 해외 검색 엔진의 점유율은 7월 평균 39.79%에서 8월 들어 일일 기준 40%를 상회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구글은 전 세계 검색 시장의 약 90%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한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지난달 평균 점유율이 36.24%로 1년 전보다 2.02% 포인트 증가했다.
MS의 빙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7월 2.69%에 불과했던 점유율이 올해 7월에는 3.55%로 증가하며, 다음을 제치고 처음으로 3위에 올라섰다. 특히 MS가 지난해 빙에 인공지능(AI) 챗봇을 탑재하면서 빙의 경쟁력이 강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네이버와 다음은 점유율 하락세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네이버의 7월 평균 점유율은 55.58%로 1년 전보다 0.51% 포인트 감소했으며, 다음은 1.12% 포인트나 떨어졌다. 특히 다음은 빙에 밀려 3위 자리까지 내줬다.
한편, 한국은 중국, 러시아와 함께 검색 시장에서 구글에 1위 자리를 내주지 않은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다. 그러나 글로벌 검색 시장의 변화와 맞물려 토종 업체들이 위기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AI 기반 검색 엔진 '서치GPT'(SearchGPT)를 발표한 것도 이러한 변화를 가속화할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 법원이 최근 구글의 시장 지배력 남용을 인정하며 검색 시장 재편 가능성을 언급한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국내 IT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의 입지가 단기간에 크게 흔들리지는 않겠지만, 점유율 하락 추세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