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주차장에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935/art_17251568087125_04a497.jpg)
【 청년일보 】 최근 인천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건 이후 전기차 충전기의 설치 장소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화재의 위험성으로 인해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의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관련 당국은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하지만 이미 지하에 설치된 충전기들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은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 중 약 60%가 지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하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의 규모를 처음으로 구체적으로 파악한 것이다.
올해 7월 기준으로 전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총 37만3천961기이다. 이 중 환경부의 설치 보조금을 받은 충전기 34만3천889기의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었으며, 나머지 보조금을 받지 않은 충전기에 대한 조사는 진행 중이다.
조사에 따르면, 급속충전기는 3만8천348기 중 17.3%에 해당하는 6천634기가 지하에 설치되어 있고, 82.7%는 지상에 위치하고 있다. 반면, 완속충전기는 33만569기 중 63.9%에 해당하는 19만5천301기가 지하에 설치되어 있어, 지하 설치 비율이 훨씬 높다. 전체 전기차 충전기 중 지하에 설치된 비율은 58.7%에 이른다.
전기차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지하에 다수의 충전기가 설치되어 있어, 이에 대한 안전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완속충전기는 과충전을 예방하는 PLC 모뎀이 장착되어 있지 않아, 충전 중 화재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정부는 내년부터는 PLC 모뎀이 장착된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만 보급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 완속충전기 중 설치한 지 5년 이상 된 충전기 약 4만기 중 절반을 내년에 스마트 제어 충전기로 교체할 예정이다. 신축 건물의 지하 주차장에는 화재 감지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습식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되며, 전국 소방서에는 전기차 화재 전용 진압장비가 확충될 예정이다.
그러나 지하에 설치된 충전기를 지상으로 옮기는 방안은 아직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고 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만 공동주택 지하 충전기의 지상 이전을 지원하거나 유도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2023년부터 새로 건축 허가를 받는 건물은 지하 3층까지만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주차구획이 없는 층은 층수 산정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지하 3층보다 더 깊은 곳에도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화재보험협회와 한국화재소방학회 등은 충전기를 지하 2층 이내에 설치하고, 외기와 접하는 위치에 설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서울시도 급속충전기 설치 시 지하 1층에서 지상 1층 사이에 설치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임 의원은 "그간 전기차 정책이 확대와 보급에만 정책이 매몰돼 화재 예방 등 관리 면에서 허술했다"며 "충전시설 설치 장소별 맞춤 화재 대응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