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사무동 전경. [사진=셀트리온]](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1249/art_17334431322028_8a93be.jpg)
【 청년일보 】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기존 전문의약품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인수·합병(M&A)를 통해 사업 다각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특히 헬스케어 산업의 M&A 거래규모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제약업계와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제약·생명과학·헬스케어 등 헬스케어 산업 내 M&A 거래 규모는 약 18조4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75% 증가했다. 거래 건수도 203건으로, 9% 늘었다.
가장 주목받은 거래는 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이었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12월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흡수 합병하며 약 13조원 규모의 신주를 발행, 통합 셀트리온을 출범시켰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은 "이 거래가 지난해 헬스케어 M&A 성장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또, 유한양행은 지난해 4월 신약 개발기업 프로젠의 지분 38.9%를 약 300억원에 확보하며 신약 개발 역량을 강화했다. 같은 달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에빅스젠의 지분 63%를 152억원에 인수하며 신약 개발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는 지난해 11월 정형외과 의료기기 제조업체 이노시스를 약 325억원에 인수했다. 이후 추가 지분 확보를 통해 이노시스의 최대 주주로 자리 잡으며 재생의료 사업 다각화에 나섰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2020년 이후 대규모 M&A를 잇달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셀트리온은 2020년 다케다제약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18개 제품 사업권을 약 3천300억원에 인수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보령 역시 2022년 미국 우주정거장 건설 기업 액시엄 스페이스에 약 778억원을 투자해 지분 2.7%를 확보하며 미래 기술 분야로 투자 영역을 확대했다.
다만 업계는 국내 기업 간 거래가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해외 기업과의 전략적 M&A가 부족하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했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은 "전체 M&A 사례 중 여전히 국내 기업 간 거래가 대부분"이라며 "M&A 방식도 지분 인수(주식 양수·양도)가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