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美 관세에 환율도 '롤러코스터'…2년 5개월 만에 변동성 '최대'

4월 원·달러 환율 일평균 9.7원 움직여…변동률 0.67%
美·中 및 국내외 변동성 등…"당분간 환율 출렁일 것"

 

【 청년일보 】 지난달 원·달러 환율이 미국의 관세정책에 영향을 받아 급등락을 반복하며 하루 평균 변동성이 약 2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환율 하락을 유도했지만, 여전히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당분간 큰 폭의 등락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중 원·달러 환율의 평균 변동 폭은 9.7원, 평균 변동률은 0.67%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11월(12.3원·0.9%) 이후 가장 큰 수치로, 전월인 3월(4.3원·0.29%)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확대됐다.

 

특히 지난달 9일에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로 인해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1천487.6원까지 상승했다가, 이틀 뒤인 11일 밤 거래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일부 국가에 대해 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히며 1천420.0원으로 급락했다.

 

이후 미국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와 관세 협상에 나서면서 환율은 1천410∼1천44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지난 2일에는 미·중 통상 협상 진전 기대감에 주간 거래 기준으로 1천405.3원까지 내려갔으며, 야간 거래에서는 1천391.5원을 기록해 2022년 11월 29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향후 환율이 1천400원선을 중심으로 등락하며 높은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일부는 미·중 협상 진전이 원화 강세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처음으로 협상 여지를 보인 점은 원화 강세 요인"이라며 "미국 금융시장 안정세가 원화 약세 요인이긴 하지만, 현재 원화 가치는 과소평가돼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상반기 환율이 1천390∼1천450원, 하반기에는 1천360∼1천460원에서 움직일 것으로 내다봤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도 상반기 환율 범위를 1천370∼1천500원, 하반기는 1천300∼1천450원으로 예상하며 "관세 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반면 박형중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협상이 기한 내 타결되지 않으면 환율이 다시 오를 수 있다"며 6월 말까지 1천420∼1천480원, 하반기에는 경기 부양 여부에 따라 1천350∼1천500원으로 예측했다.

 

이낙원 NH농협은행 FX파생전문위원은 "5월에도 미·중 무역 불확실성, 달러인덱스, 미 국채 금리 등 주요 지표의 변동성에 따라 환율이 크게 출렁일 것"이라며 상반기 환율 범위를 1천380∼1천475원, 하반기 1천350∼1천440원으로 제시했다.

 

서정훈 하나은행 수석연구위원은 "미·중 협상이 원화 강세를 유도할 수 있지만, 국내 정치 불안과 경기 부진은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상반기 환율 범위를 1천400∼1천440원, 하반기는 1천390∼1천460원으로 예측했다.

 

이렇듯 전반적으로 전문가들은 미·중 협상 흐름과 국내외 정치·경제적 리스크에 따라 환율이 당분간 넓은 범위에서 출렁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