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용산사옥 전경. [사진=LG유플러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519/art_17466804333177_a0b67a.jpg)
【 청년일보 】 LG유플러스는 연결기준 올 1분기 매출 3조7천481억원, 서비스수익 2조9천389억원, 영업이익 2천554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 늘어났으며, 서비스수익은 1.6%, 영업이익은 15.6% 각각 증가했다.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의 배경으로는 유·무선 가입자의 증가와 인공지능(AI)이 적용된 B2B 인프라사업의 성장, 수익화 가능성이 낮은 일부 사업 정리를 통한 비용 효율화가 지목된다.
마케팅비용은 올해 초 AI 경쟁력과 '밝은 세상' 청사진을 제시한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참여 등으로 인한 광고선전비가 증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 증가한 5천558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CAPEX(설비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3.4% 감소한 3천331억원을 집행했다.
1분기 무선 사업은 가입자 순증과 해지율 개선 등 질적 성장이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1조6천121억원의 수익을 거뒀다.
MNO와 MVNO를 합한 전체 무선 가입회선 수는 2천907만5천개로 전년 동기 대비 10.7% 늘어나며 12개 분기 연속 두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MNO 가입회선은 2천51만3천개로 지난해 1분기 대비 6.7% 증가했다.
특히 5G 핸드셋 가입자는 전년 동기 대비 14.0% 늘어난 819만6천회선으로 MNO 핸드셋 가입자 대비 74.8%로 비중이 확대됐다. 해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0.09% 포인트 개선하며 1% 초반대인 1.09%를 기록했다.
MVNO 가입회선의 가파른 증가세도 지속됐다. 지난해 1분기 703만4천개였던 MVNO 회선은 21.7% 늘어 856만2천개를 달성했다. 온라인에서 가입 정보, 사용량을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는 '알닷케어' 오픈, 알뜰폰 업계 최초 외국인 셀프개통 지원 등 이용자 편의 향상 노력에 주력해 알뜰폰망 회선 수 선두를 굳혔다.
초고속 인터넷과 IPTV가 포함된 스마트홈 사업도 성장을 이어갔다. 1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4% 증가한 6천306억원을 기록했다.
초고속 인터넷 사업 수익은 고가치 가입회선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6.9% 상승한 2천965억원으로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유지했다. 지난 1월 안심 기능을 강화하고 보상 기능을 추가한 '프리미엄 안심 보상 요금제'를 출시하는 등 차별화된 경쟁력을 토대로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매출이 상승했다. 실제로 초고속 인터넷 가입회선은 539만6천개로 지난해 동기간 대비 3.4% 증가했다.
1분기 IPTV 가입회선은 561만1천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 늘었다. 다만 홈쇼핑 송출 매출 영향, VOD 판매량 하락 등에 따라 IPTV 사업 수익은 1.2% 감소한 3천301억원이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솔루션, IDC, 기업회선 등 사업이 포함된 기업인프라 부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 증가한 4천97억원을 기록했다. IDC와 기업회선의 꾸준한 성장이 배경으로 지목된다.
IDC 사업 수익은 8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LG유플러스의 IDC 사업은 두 번째 하이퍼스케일급 IDC '평촌2센터'의 전산실에 차질 없이 고객사가 입주하고, AI 전용 GPU 운영 및 관리에 최적화된 AIDC를 구축하는 등 신사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계메시징, 웹하드, NW솔루션, 스마트모빌리티, AICC 등 분야를 포함한 솔루션 사업의 수익은 0.4% 성장한 1천18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시작된 AI 중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AX)이 꾸준한 성과 및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기업 인터넷과 전용회선 등을 포함한 기업회선 사업 수익도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2천35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을 지속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최고리스크책임자(CFO/CRO, 전무)는 "전 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환경 가운데서도 LG유플러스의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모두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면서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해 AI 적용 영역을 확장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기업가치와 주주이익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