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올 상반기 LCC 국제선 여객수, 3년 연속 대형 항공사 추월

 

【 청년일보 】 올해 상반기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국제선 탑승객 수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FSC)와 외국 항공사를 모두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 사고 여파로 제주항공과 에어부산은 승객이 줄었지만, 이스타항공과 진에어 등 다른 LCC들의 승객이 늘면서 감소분을 상쇄했다.

13일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국내 공항의 국제선 여객 수(출발·도착 합산)는 총 4천582만9천686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국내 LCC 8개사의 국제선 이용객은 1천578만1천630명(34.4%)이었다.

 

이는 대한항공(947만4천488명)과 아시아나항공(618만1천907명)을 더한 대형 항공사의 국제선 탑승객 1천565만6천395명(34.2%)보다 12만여명 많다. 외항사(1천439만1천661명·31.4%)를 140만명 가까이 웃돈다.

 

상반기 기준 LCC 국제선 이용객 수는 대형 항공사를 처음 추월한 2023년 이래 3년 연속 우위를 보였다. LCC들은 2023년 이후 엔데믹 전환에 발맞춰 일본과 동남아 등 관광 수요가 높은 중·단거리 노선에 집중하며 여객 수를 크게 늘려 왔다.

 

다만 LCC와 대형 항공사의 점유율 격차는 지난해 상반기 2.6%포인트(35.7%·33.1%)에서 올해 상반기 0.2%포인트로 좁혀졌다. 대형 항공사 승객이 1년 새 150만명 가까이 늘어나는 사이 LCC 승객은 제주항공과 에어부산 사고 영향으로 52만명 증가에 그치면서다.

 

제주항공은 올해 상반기 359만여명이 탑승, 지난해 상반기(432만여명)보다 승객이 73만명(16.9%) 줄었다. 제주항공은 사고 이후 운항 안정성 강화를 위해 항공편을 줄이면서 상반기 공급 좌석 수가 10% 넘게 감소했다.

 

제주항공은 상반기 진에어(347만여명), 티웨이항공(338만여명) 등을 제치고 국내 LCC 승객 1위 자리는 지켰다.

 

에어부산의 올해 1∼6월 승객은 205만여명으로 작년 상반기(218만여명)보다 13만명(5.9%) 감소했다. 지난 1월 여객기 화재로 항공 수요가 몰리는 1∼2월에 운항이 축소된 점이 큰 영향을 미쳤다.

 

에어서울도 상반기에 작년 동기보다 4.7%(4만3천여명) 줄어든 88만여명이 탑승했다. 일부 항공기의 정비 및 운영에 문제가 생기면서 지난 5월 말부터 이달 초까지 인천발 도쿄, 다낭, 후쿠오카, 보홀 등 노선 항공편이 비운항 처리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반대로 새 항공기를 도입하거나 신규 취항·증편에 나선 LCC들은 국제선 승객이 늘었다.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이스타항공은 1년새 승객이 74만명에서 135만여명으로 81.2% 늘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새 항공기를 4대 들여오고, 인천∼도쿠시마·알마티, 부산∼치앙마이 등 다수 노선에 취항하면서 승객이 크게 증가했다.

 

또 진에어는 34만여명(11%), 에어로케이(57만여명)는 21만여명(58.8%), 티웨이항공은 18만여명(5.8%) 늘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고물가 시대가 이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운임이 저렴한 데다 장거리보다 부담이 덜한 단거리 국제선에 집중하는 LCC의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며 "LCC들이 지방공항 노선을 공격적으로 늘린 점도 증가세에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