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러시아 수출기업 10곳 중 8곳 "재진출 의향 있다"

무협, '한-러 교역구조 변화와 향후 수출 전략' 보고서 발간

 

【 청년일보 】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러시아 수출 경험 기업 다수가 향후 시장 복귀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이하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2일 발표한 '한-러 교역구조 변화와 향후 수출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수출을 중단한 우리 기업의 79.2%가 향후 러시아 시장 재진출에 긍정적인 의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재개를 희망하는 응답기업들은 '러시아 시장 회복 가능성'(1위)과 함께 '기존 바이어의 요청 또는 관계 유지'(2위)를 수출 재개의 주된 이유로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對러시아 수출은 2021년 100억 달러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으나, 전쟁과 국제사회의 제재 영향으로 지난해 45.3억 달러로 절반 이하로 축소됐고, 같은 기간 수출기업 수 또한 4천3개사에서 1천861개사로 대폭 감소했다.

 

이는 국제사회 제재로 전략물자는 물론 일부 비전략물자까지 수출통제가 확대 적용되며 상황허가 수출통제 품목 수(25. 6월 기준)가 1천431개까지 늘어난 영향이다. 또한 결제·통관·지재권·관세 등의 러시아 측 조치로 교역 환경이 추가적으로 제한됐다.

 

對러시아 수출 중단 업체들은 러시아에 특화된 제품 특성과 정보 부족 때문에 대체시장 발굴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실제로 러시아 수출을 중단한 기업 가운데 다른 국가에 진출한 비율은 37.2%에 그쳤다.

 

하지만 러시아 시장 회복 가능성에 대해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인 51.8%가 '긍정적'이라고 답하며, 불확실성만 해소된다면 러시아가 다시 유효한 전략시장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기업들은 러시아 수출 재개의 우려 요인으로 '결제 및 환율 리스크(69.9%/복수 응답)', '물류 및 운송환경(44.6%/복수응답)', '지정학적 불안정성(43.2%/복수응답)' 등을 지적하며 이의 해소를 위한 정부의 실질적 지원을 요청했다.

 

업계가 필요로하는 지원책으로는 '제재 관련 정보 제공'(37.5%)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금융 및 수출보험'(22.9%), '물류·통관 지원'(18.9%) 등 현장 애로 해소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서경 무협 수석연구원은 "전후 복원 수요와 인접 시장과의 연계 가능성을 감안하면 러시아는 놓쳐서는 안 될 시장"이라면서 "복원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교역 재개 로드맵을 수립하는 한편, 민관의 전략적 역할 분담과 협력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