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구름많음동두천 12.8℃
  • 구름조금강릉 13.6℃
  • 구름많음서울 13.2℃
  • 구름조금대전 14.3℃
  • 맑음대구 13.4℃
  • 맑음울산 14.7℃
  • 맑음광주 13.5℃
  • 맑음부산 14.3℃
  • 구름많음고창 13.5℃
  • 흐림제주 14.2℃
  • 구름조금강화 13.3℃
  • 구름많음보은 11.9℃
  • 구름많음금산 12.2℃
  • 구름많음강진군 14.9℃
  • 맑음경주시 14.7℃
  • 맑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지원출산 장려정책'...현금 수당보다 주거·일자리 "좋아요"

한국노동패널 자료 바탕
하솔잎 부연구위원 연구

 

 

【 청년일보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일 발행한 보건복지포럼 11월호에는 출생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으로 장려금 등 현금 수당보다 주거·일자리 지원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내용의 보고서가 실렸다.

 

연구진은 한국노동패널 3∼25차(2000∼2022년) 자료를 바탕으로 배우자가 있는 가임기(15∼49세) 여성의 ▲연간 출산 여부 ▲현재 자녀 수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했다.

 

요인(설명변수)으로는 아내와 남편의 연령·학력·근로소득·1인당 사교육비·지자체 출산장려금·주거비 부담·기존 자녀 수 등이 포함됐다.

 

연구진이 이러한 요인과 연간 출산 여부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구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은 출산 확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현재 자녀 수 결정 요인 분석 결과에서도 주거비 부담이 높아질수록 자녀 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내의 근로소득과 현재 자녀 수의 관계는 부(-)의 관계로, 임신 전 여성의 높은 임금 수준이 자녀 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출산장려금은 연간 출산 여부와 당해 자녀 수에서 모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사교육비 등과 비교하면 그 영향 수준(계수)이 7배 이상 낮았다.

 

특히 첫째와 둘째 출산 단계 가구에서 장려금은 출산 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못했으며 주거, 고용안정 등 다른 구조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를 수행한 하솔잎 부연구위원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가구의 출산 결정은 단기적 상태보다는 장기 예산 전망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여성의 임금 수준이 현재 자녀 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해당 요인이 출산·양육의 기회비용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산장려금에 대해서는 "생애 소득과 소비 전망을 변화시킬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크다면 그 영향이 가시적으로 나타나겠지만 현재 무자녀·한 자녀 가구에서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며 "출산 장려 정책으로 단기 현금수당보다는 신혼부부 주거 지원이나 청년 일자리 지원, 양육환경·정주여건 개선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언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