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상생소비지원금[사진=연합뉴스]</strong>](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1146/art_16369458299636_63c025.jpg)
【 청년일보 】상생소비지원금(카드 캐시백) 사업에 참여한 전체 참여자의 55%인 810만명에게 1인당 평균 4만8천원이 지급된다. 캐시백 지급 대상자 810만명 가운데 169만명은 월 지급 한도인 10만원을 돌려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카드 캐시백은 10∼11월에 신용·체크카드를 지난 2분기(4∼6월) 월평균 사용액보다 3% 이상 많이 쓰면 초과분의 10%를 현금성 충전금(포인트)으로 돌려주는 정책 사업이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상생소비지원금(카드 캐시백) 사업에 참여한 국민 1천509만명 가운데 810만명이 10월분 카드 사용액에 따라 평균 4만8천원씩 캐시백을 받는다고 밝혔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위축된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예산 7천억원을 투입해 이 사업을 추진했다.
10월분 캐시백 지급액은 총 3천875억원이다. 전체 예산(7천억원)의 약 55.4%를 첫 달에 소진했다.
실적은 본인 명의의 신용·체크카드 사용액 전체를 합산해 계산하며, 1인당 최대 월 1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분기 월평균 사용액이 100만원이고 10월 카드 사용액이 203만원이면 증가액 103만원 중 3만원(3%)을 제외한 100만원의 10%인 10만원을 돌려받는다.
10월분 캐시백은 개인이 신청할 때 지정한 전담 카드사로 이날 중 지급된다. 시간은 카드사마다 다르다.
캐시백은 별다른 사용처 제한 없이 모든 국내 카드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다. 실적 인정 대상이 아닌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서도 쓸 수 있다는 의미다.
받는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카드 결제 시 먼저 차감된다. 전 국민지원금 등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받은 지원금이 있으면 사용기한이 먼저 도래하는 지원금부터 차례대로 차감된다.
캐시백은 내년 6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하고, 이후 미사용 잔액은 소멸한다.
11월분 캐시백 지급 예정액은 지난 12일까지 총 510억원 발생했다. 11월분 캐시백은 내달 15일 지급될 예정이다.
기재부는 "11월에도 참여 신청을 할 수 있다"며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