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한국 기업 M&A 저조"...전경련 "관련 규제 완화 필요"

1063건 美·日 3분의 1 수준…가장 적은 英 비해 700건↓
2737억달러 美 10분의 1에도 못 미쳐...가장 작은 佛 절반

 

【 청년일보 】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기업의 인수합병(M&A) 건수와 금액이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주요 5개국(G5)의 평균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따르면 2012년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년간 우리나라 기업의 M&A 건수는 총 1천63건으로, G5 평균(2천598건)의 41%에 불과했다.

 

G5 중에서는 미국(3천350건)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3천202건), 프랑스(2천764건), 독일(1천967건), 영국(1천707건) 순이었다.

같은 기간 금액을 기준으로 하면 우리 기업의 M&A 금액은 2천737억달러로 G5 평균(1조933억달러)의 25% 수준에 그쳤다.

 

G5 중에서는 미국(2조8천815억달러)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8천847억달러), 영국(6천407억달러), 독일(5천336억달러), 프랑스(5천262억달러) 순이었다.

 

우리나라는 G5 중 M&A 금액이 가장 낮은 프랑스와 비교해도 절반(52%) 수준에 머물렀다.

 

전경련은 또 우리나라는 M&A가 기존 산업에 집중된 반면 G5의 경우 기존 산업과 신산업 분야 모두에서 고르게 활성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G5의 M&A 금액 상위 4개 업종은 헬스케어·커뮤니케이션 등 신산업 2개 업종과 산업재·필수 소비재 등 기존 산업 2개 업종으로 조사됐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는 기존 산업인 산업재 분야에서만 M&A가 활발했으며 헬스케어 분야의 M&A 실적은 없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과 독일은 헬스케어, 일본과 영국은 커뮤니케이션, 프랑스는 산업재 분야의 M&A 금액이 가장 컸다.

 

전경련은 우리나라가 G5에 비해 M&A가 부진한 이유로 제도적 환경을 꼽았다. 유망 중소 벤처기업이 M&A를 통해 대기업집단으로 편입될 경우 지주회사 규제가 적용되거나 계열사 간 지원 행위가 금지되는 등 각종 규제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과거에는 기업들이 신산업 진출을 위해 회사를 직접 설립했지만, 지금은 M&A를 통한 진출이 새 트렌드가 됐다"며 "우리 기업이 적극적인 M&A를 통해 신산업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백승윤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