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위생법 위반 업소 내부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309/art_16463738823853_6b6bf7.jpg)
【 청년일보 】 금일 유통업계에서는 자가품질검사 없이 떡볶이 소스를 유통하고, 참깨 등의 유통기한을 마음대로 늘린 업체 등이 단속에 적발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아울러 전남 진도 대파를 활용한 상품이 'CU 전국 편의점'을 통해 출시된다.
이밖에 농협 전남지역본부는 4일 지역본부 1층 로비에서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남양파 소비촉진 행사를 전개했다.
◆품질검사 없이 떡볶이 소스 판매...참깨 유통기한 늘린 업체들 적발
자가품질검사 없이 떡볶이 소스를 유통하고, 참깨 등의 유통기한을 마음대로 늘린 업체 등이 단속에 적발돼.
4일 대전시 특별사법경찰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설 성수식품 제조업체를 기획수사한 결과 식품위생법 등 위반 업체 6곳이 적발된 것으로 나타나.
A 업체는 법에 정해진 자가품질검사를 4년 넘게 하지 않은 채 떡볶이 소스와 쫄면 비빔장 등을 생산해 유명 떡볶이집 체인점에 납품하고, 제품 생산이나 원료 관련 기록도 전혀 작성하지 않은 혐의로 단속.
B 업체는 6개월인 볶음 참깨 유통기한을 1년으로 늘려 표시해 판매하고, C 업체는 유통기한이 길게는 7년 넘게 지난 고춧가루 등을 보관하다가 적발.
◆진도 대파 활용 간편식, 전국 편의점 출시
전남 진도 대파를 활용한 상품이 'CU 전국 편의점'을 통해 출시돼.
진도군은 BGF리테일과 진도 대파와 진도아리랑 청정 농산물 홍보·소비 촉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
전국 편의점 프렌차이즈 CU를 운영하는 종합유통서비스 기업인 BGF리테일은 이번 협약을 통해 조만간 진도 대파를 활용한 '진도 대파 소불고기 유부초밥' 간편식을 출시할 예정.
소불고기에 무기질 등이 풍부한 진도 대파로 향을 더한 신규 상품은 전국의 1만5천여개 CU 편의점을 통해 판매.
◆햇양파 곧 나오는데 가격은 '뚝'…전남농협, 소비촉진 앞장
농협 전남지역본부는 4일 지역본부 1층 로비에서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남양파 소비촉진 행사를 전개.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소비 부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남지역 양파 농가를 돕고자 마련돼.
농협은 최근 가락도매시장 상품기준 양파가격 kg당 400원 내외로 전년 같은 기간(kg당 1천700원)과 비교하면 70% 이상 하락했다고 설명해.
전남농협은 지난달에는 하나로마트 남악점에서 지역 양파 주산지농협 조합장들과 함께 소비자를 대상으로 양파 소비촉진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한 적 있어.
![노스페이스 사칭 사이트 특징. [사진=한국소비자원]](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309/art_16463830324885_04e72c.jpg)
◆상품 안 보내고 연락두절…노스페이스 사칭 사이트 피해주의보
A씨는 지난해 12월 22일 페이스북을 통해 노스페이스 사칭 사이트를 알게 돼 의류 3점을 구입하고 86.4달러를 결제. 이메일로 결제 내역을 받은 A씨는 판매자명이 다른 것을 보고 사기 사이트로 의심해 결제 취소를 요청했지만 연락이 두절돼.
최근 아웃도어 브랜드 '노스페이스'를 사칭하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한국소비자원이 각별한 주의를 당부.
4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두 달간 노스페이스 사칭 사이트와 관련된 소비자 상담 21건이 접수돼.
'NFWEAR'라는 이름을 쓰는 이 사이트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SNS)에 아웃도어 상품을 대폭 할인판매한다는 광고를 노출시키거나 친구나 지인이 SNS를 통해 할인 광고를 공유한 것처럼 오인하게 해 소비자를 유인.
◆"작년 7월 이전 손실도 보상해야"…소상공인 단체 1600억원 집단소송
소상공인 단체가 정부를 상대로 코로나19 방역 조치에 따른 소상공인의 손실 보상을 소급해 적용하라는 청구 소송을 제기해. 1차 소송 참여자 2천명의 손실 추산액 합산치는 약 1천615억3천만원으로, 1인당 평균 8천77만원.
한국외식업중앙회와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 등 14개 소상공인 단체로 이뤄진 '코로나 피해 자영업 총연대'(코자총)는 4일 오전 서울행정법원에 이런 내용의 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혀.
이번 소송은 2020년 4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정부의 집합금지 명령으로 인해 자영업자들이 입은 손실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것.
앞서 정부는 지난해 7월 소상공인법을 개정할 당시 개정일 이전에 소상공인이 입은 손실은 보상 대상에서 제외.
【 청년일보=백승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