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7월 상가 경매 물건 2천294건…11년 6개월 만에 '최다'

경기 악화·고금리 장기화에 매물 급증, 수요는 감소
공급과잉에 '공실' 늘어…'매물 적체 현상' 지속 전망

 

【 청년일보 】 최근 경기 악화와 고금리의 여파로 상가 경매 물건이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낙찰받으려는 수요는 감소해 매물 적체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25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 법원에서 진행된 상가 경매 건수는 총 2천294건으로, 전달(2천83건) 대비 10.1%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1천59건)과 비교하면 116% 급증한 수치로, 2013년 1월(2천512건)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2년까지만 해도 월별 상가 경매 건수는 1천건을 밑돌았으나, 지난해 초부터 급증하기 시작해 4월(1천91건) 1천건을 돌파, 지난 6월에는 2천건을 넘기며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상가 경매 물건이 늘어난 배경에는 경기 침체와 고금리로 인한 채무 불이행이 증가한 점이 지목된다. 상가의 수익성이 저하되면서 경매 시장에서의 수요는 감소해, 매물이 계속 쌓이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들어 상가 경매 낙찰률은 20% 미만을 기록하고 있으며, 7월에는 20%로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저조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경매에 나오는 10건 중 8건은 낙찰자를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반복적인 유찰로 인해 가격이 떨어진 물건이 많아지면서 낙찰가율 역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지난 4월부터 4개월 연속 전국 상가 경매 낙찰가율은 50%대를 기록했으며, 7월에도 59.3%에 그쳤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상가 경매 시장도 비슷한 상황이다. 지난달 서울에서 진행된 상가 경매는 286건으로, 1년 전(106건)의 세 배에 육박하며 2015년 2월(293건)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기 지역 또한 487건으로 2015년 3월(585건) 이후 가장 많은 수치를 보였다. 서울 지역의 상가 낙찰률은 22%, 낙찰가율은 77.1%였고, 경기 지역은 각각 17%, 60%를 기록했다.


반면, 서울 아파트 경매 시장에서는 지난달 낙찰된 아파트 5가구 중 1가구가 감정가보다 높은 가격에 팔리며 낙찰가율이 93.7%에 달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동대문 패션몰과 전자제품 전문상가 등 '테마상가'의 경우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더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8월 처음 경매에 나온 충무로의 한 패션몰 상가는 9차례 유찰 끝에 1년 만에 낙찰됐으며, 낙찰가는 감정가의 13%에 불과한 3천110만원이었다. 광진구 테크노마트의 한 상가도 8차례 유찰된 끝에 감정가의 23% 수준인 369만1천원에 낙찰됐다.


지방의 경우 공급과잉으로 공실이 늘면서 오랜 기간 임차인을 찾지 못한 상가가 경매 매물로 나오는 사례가 많다고 지지옥션 측은 전했다.


이주현 지지옥션 전문위원은 "상가 임대시장의 상황이 여전히 좋지 않고 경매 신규 신청 건수도 계속 늘고 있어 매물 적체 현상은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