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 1위 '40대'…23개월 만에 30대 추월

7월 서울 아파트 40대 매입 비중 33.2%
수요자 불안 심리 및 규제 강화 등 작용

 

【 청년일보 】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40대 매입 비중이 약 2년 만에 30대를 넘어섰다. 이는 최근 집값 상승세와 함께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을 앞두고 대출 규제가 강화되기 전에 주택 구매에 나선 40대가 늘어난 결과로 분석된다.


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40대 매입 비중은 33.2%로, 30대의 31.5%를 넘어섰다. 이는 2022년 8월 이후 1년 11개월 만에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에서 30대와 40대는 서로 엎치락뒤치락해왔다. 2019년 통계가 처음 발표된 이후, 30대와 40대는 각기 다른 시기에 시장을 주도했다. 특히, 2020년 1월부터 집값 상승이 본격화되면서 30대 매입 비중이 40대를 앞지르기 시작했다. 2021년 1월에는 30대 매입 비중이 사상 최대치인 39.6%를 기록하며 '영끌족'의 패닉바잉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40대 매입 비중은 25.8%에 그쳤다.


하지만 이후 금리 인상과 거래 절벽으로 인해 집값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2022년 7월과 8월 잠시 40대 매입 비중이 30대를 앞질렀다. 이후 2022년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다시 30대가 우위를 점했으나, 올해 6월부터 40대 매입 비중이 점차 증가하며 7월에는 30대를 추월하게 되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40대가 집값 상승에 대한 불안감과 대출 규제 강화 이전에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통상적으로 40대는 30대보다 집값이나 금리 변동에 신중한 반응을 보이지만,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전고점에 육박하는 등 상승세가 이어지자 관망하던 수요자들이 매수 대열에 합류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정부가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시기를 7월에서 9월로 연기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대출 규제가 강화되기 전에 집값이 더 오를 것을 우려한 40대가 서둘러 주택을 구입한 것이다. 반면, 30대는 신생아 대출이나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금 등 저리의 정책 자금 이용이 가능해 대출 옥죄기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할 수 있다는 점도 작용했다.


구별로 보면, 강남·서초·송파·강동구 등 전통적으로 40대 매수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강북에서도 40대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마포구에서는 40대 매입 비중이 36.9%를 기록해 30대(31.8%)를 앞질렀고, 성동구에서도 40대와 30대 매입 비중 격차가 줄어들었다.


한편, 40대의 서울 아파트 매수 증가로 지난 7월 거래 건수는 8천726건을 기록하며 2020년 7월 이후 4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8월 들어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 인상과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으로 대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40대 매수세가 지속될지는 불확실하다.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는 3천107건으로 7월 거래량에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