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전경. [사진=청년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1249/art_17330964865583_771a1a.jpg)
【 청년일보 】 올해 지방 등 타지역 거주자의 서울 아파트 원정 매입 비중이 작년보다 감소했다. 서울은 집값이 크게 오른 반면 지방은 하락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거래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누적)까지 서울 거주자 외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전체의 22.7%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24.6%에 비해 약 2%포인트가량 감소한 것이다. 지난해 1∼10월 동기간(24.9%)과 비교해도 낮은 수치다.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18년 처음 20%를 넘은 뒤 지난해 24.6%로 2006년 1월 관련 통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021∼2022년 집값 하락 후 상대적 안전 자산인 서울 아파트로 매수세가 몰린 데다 '똘똘한 한 채' 열풍이 불며 서울 요지의 단지를 중심으로 유입이 많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기준금리 인하가 지연된 가운데, 올해 들어 아파트값이 신고가를 경신하는 단지들이 늘며 가격 부담이 커지자 외지인의 투자도 주춤해진 것으로 보인다.
강남구(23.1%)와 서초구(21.8%), 송파구(26.0%) 등 강남 3구는 일제히 작년(23.6%, 23.4%, 29.2%)보다 비중이 감소했고, 마포구(25.4%)도 역대 최대였던 작년(30.6%)보다 비중이 축소됐다.
중저가 단지가 몰린 노원구(20.4%)·도봉구(15.8%), 강북구(16.4%) 등도 외지인 매입 비중이 작년(각 21.2%, 20.4%, 36.0%)보다 줄었다.
다만 재개발 등 정비사업 호재로 올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을 견인한 성동구는 외지인 매입 비중이 지난해(23.9%)보다 높은 25.5%로 올라서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성동구 아파트값 누적 상승률은 9%로, 서울 평균(4.31%)의 2배를 웃돌았다.
서울 거주자의 지방 등 타지역 아파트 매수 비중은 올해 10월까지 5.3%를 차지해 작년(5.2%) 수준을 유지했다. 작년 동기간(1∼10월)의 비중도 5.3%로 올해와 같다.
금리 인하가 늦어지면서 공급 과잉, 수요 감소로 아파트값이 3년 연속 하락 중인 지방에 투자할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거주자의 원정 투자는 아파트값이 급등한 2021년 8.9%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뒤 2022년부터 지방 아파트값이 약세로 돌아서며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올해 10월까지 4.31% 올랐으나 지방과 5대 광역시는 각각 1.34%, 2.10% 하락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