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3.2℃
  • 맑음강릉 26.0℃
  • 맑음서울 21.7℃
  • 맑음대전 23.5℃
  • 맑음대구 21.6℃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1.5℃
  • 맑음부산 20.0℃
  • 맑음고창 21.6℃
  • 구름많음제주 18.8℃
  • 맑음강화 19.7℃
  • 맑음보은 21.5℃
  • 맑음금산 23.8℃
  • 맑음강진군 20.6℃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제 20.6℃
기상청 제공

"지방 건설사 고사 위기"…올해 건설사 부도 27곳

2019년 이후 최대치…85%가 지방 업체

 

【 청년일보 】 건설 업계의 업황이 부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올해 부도난 건설업체가 총 27곳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부도는 지난해에 비해 2배이상 늘어 났고 특히 대부분이 지방 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10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부도를 신고한 건설업체(당좌거래정지 당시 폐업 또는 등록말소된 업체 제외)는 27곳이다.


건설사 부도는 지난해 같은 기간(13곳)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연간 통계로 따져도 2019년(49곳)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다.


부도 건설사는 2019년 49곳에서 2020년 24곳, 2021년 12곳, 2022년 14곳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2년 하반기부터 건설업 불황이 본격화하면서 부도 업체는 2023년 21곳으로 늘었고, 올해는 30곳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부도 업체를 보면 종합건설사가 11곳, 전문건설사는 16곳이다.


상대적으로 자금력과 경쟁력이 약한것으로 평가받는 지방 건설사부터 타격을 받고 있다. 올해 부도 건설사는 서울(1곳), 경기(3곳)를 뺀 85%가 지방 업체다. 지역별로는 부산(6곳), 전남(4곳), 경남(3곳) 순으로 부도 업체가 많았다.


이달 3일에는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전북 시공능력평가 4위 종합건설사인 제일건설이 부도 처리됐다.


1988년 건설된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액이 1천743억원, 2022년은 2천156억원인 전북 시공능력평가 4위의 중견업체지만, 미분양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달에는 부산의 시공능력평가 7위 종합건설사인 신태양건설이 부도를 맞았다.


부도까지 가지 않더라도 경영난으로 스스로 문을 닫는 폐업 건설사도 늘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폐업한 건설사는 2천104곳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4% 증가했다.


특히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가 394곳으로 20.9% 급증했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사 폐업 신고는 1천710곳으로 8.3% 늘었다. 종합건설사의 경우 신규 등록 업체도 대폭 줄었다. 1∼10월 신규 등록 업체는 375곳으로 작년 같은 기간(923곳)보다 59.4%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업체 신규 등록은 4천199곳으로 8.4% 늘었다.


건설업 부진은 일자리 감소로 연결된다. 올해 9월 국내 건설업 취업자 수는 205만7천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6%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 취업자 수 감소 폭이 4%대를 기록한 것은 2013년 2월(-5.6%) 이후 11년 8개월 만이었는데, 10월 건설업 취업자 역시 4.3% 줄며 4%대 감소 폭을 이어갔다.


건설업 불황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건설투자가 1.4% 줄고, 내년에는 2.1% 축소되며 감소 폭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