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숏폼 열풍'에 한국인 1인당 평균 48시간 사용...OTT의 7배

1인당 숏폼 앱 평균 사용시간, 48시간 73분
네이버 '클립' 콘텐츠, 전년 동기比 5배 증가

 

【 청년일보 】 한국인 1인당 숏폼(짧은 동영상) 사용시간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대비 약 7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 달 유튜브·틱톡·인스타그램 등 숏폼 서비스 앱의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은 48시간 73분으로 집계됐다.


이는 넷플릭스·티빙·웨이브·디즈니+·쿠팡플레이 등 주요 OTT 플랫폼의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이 7시간 14분에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해에도 숏폼 앱의 사용시간은 OTT 대비 약 7배가량 많았다. 이용자들의 영상 체류 시간이 점차 짧아지는 문화와 맞물린 것으로 풀이된다.


유튜브·인스타그램 등 글로벌 앱 외에도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들이 자체 숏폼 서비스를 선보이며 이용자들이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소비하고, 직접 생산할 기회도 많아진 영향도 있다. 이런 가운데 플랫폼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숏폼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카카오 다음은 지난해 12월부터 숏폼 등 콘텐츠 생산을 지원하는 '다음채널 부스트업 챌린지'를 진행 중이다.


카카오는 올해 2분기 다음 앱 하단에 '숏폼' 탭을 신설해 이용자 접점을 늘릴 계획이다. 카카오톡 안에서 숏폼 등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발견 영역도 연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네이버도 마찬가지로 지난달 숏폼 서비스 클립의 콘텐츠 생산량은 지난해 2월과 비교해 5배 증가했다고 전했다. 하루 평균 클립 재생수는 이전보다 네 배 늘었으며, 채널 수도 세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