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미중 '무역 갈등' 격화…中, 美 LNG 수입 "전면 중단"

파이낸셜타임스 "2월 6일 이후 10주 이상 운송 끊겨"
중국,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높이며 공급망 재편 가속

 

【 청년일보 】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격화되면서 에너지 시장에도 거센 파장이 일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8일 중국이 최근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전면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월 6일 미국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에서 출발한 6만9천t 규모의 LNG 운반선이 중국 푸젠성에 도착한 이후, 10주 이상 중국행 미국산 LNG 선적이 전무한 상태다. 이후 출발한 다른 선박도 중국 도착 시점을 맞추지 못하고 방글라데시로 항로를 변경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지난 2월 10일부터 미국산 LNG에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이 관세율은 최근 49%까지 상향됐다. 이에 따라 중국 수입업자들은 미국산 LNG 도입이 경제적으로 불가능해졌다는 분석이다.

 

과거에도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 시절 한동안 미국산 LNG 수입을 중단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조치는 러시아와의 에너지 협력 강화 움직임과 맞물리며,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앤-소피 코보 컬럼비아대 글로벌 에너지 정책센터의 가스 전문가는 "장기적으로 볼 때 중국 LNG 수입업체가 미국산 LNG를 새로 계약할 일은 없을 것 같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미국산 LNG의 중국 내 점유율은 줄어드는 추세다. 2021년 전체 LNG 수입의 11%를 차지했던 미국산 비중은 지난해 6%로 하락했다.

 

원자재·물류 데이터 제공 기업 케플러의 길리안 보카라 애널리스트는 "이번 중단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려워 보인다"며 "중국은 현재 낮은 경제 성장률 속에서도 LNG 수입을 장기 중단할 수 있는 여건을 갖췄다"고 말했다.

 

대신 중국은 러시아산 LNG 수입 확대에 나섰다.

 

장한후이 러시아 주재 중국 대사는 "러시아 LNG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매우 많다"며 "다수의 바이어들이 러시아 공급업체와의 연결을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현재 중국의 세 번째 LNG 공급국으로 자리잡았으며, 양국은 '시베리아의 힘 2' 파이프라인 건설을 두고 공급량 및 가격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무역 대치는 미국과 멕시코에서 진행 중인 LNG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분석업체 에너지 어스펙츠의 리처드 브론즈는 "사실상 교역이 차단된 상황"이라며 "아시아 지역의 전체 LNG 수요가 500만~1천만t 감소하고, 유럽 시장에선 LNG 가격이 소폭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중 양국은 최근 잇단 보복 관세 조치를 주고받고 있다. 중국은 지난 2월 10일부터 미국산 석탄과 LNG에 15%, 원유와 농기계, 차량 등에 10%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지난 12일부터는 대미 추가 관세율을 125%까지 끌어올렸다. 이는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적용한 누적 관세율 145%에 대응한 조치로 풀이된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