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국내 게임 산업이 모바일 게임 중심의 성장 전략 한계에 직면했다는 진단이 나왔다.
NH투자증권은 30일 보고서를 통해 "한국 게임사들은 모바일에 편중된 구조 탓에 위기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며 "IP(지식재산권) 기반 확장과 콘솔·PC 등 멀티플랫폼 전략 전환이 필수"라고 분석했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모바일 게임 시장은 유튜브·인스타그램·넷플릭스·웹툰 등 글로벌 콘텐츠와 경쟁이 격해졌다"며 "가볍게 게임을 즐기는 라이트 유저층은 중국산 양산형 게임에 익숙해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게임사만이 향후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또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형 게임사들이 인기 IP를 확보하고 확장하기 위해 M&A(인수합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에서도 2023년을 기점으로 콘솔과 PC 시장 진출, AI(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개발 효율화 등 체질 개선 노력이 본격화되며 내년 하반기부터 성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안 연구원은 IP 프랜차이즈화와 멀티플랫폼 대응 능력이 돋보이는 기업으로 넷마블과 크래프톤을 꼽아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그는 "넷마블은 2022년 이후 부진했지만 기존 IP와 신규 라인업의 연속 성공으로 회복세에 진입했다"며 "'일곱개의 대죄: 오리진'을 비롯해 '몬길: 스타다이브', '이블베인',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등 다수 신작이 내년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가 안정적인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IP 프랜차이즈 전략과 신작 출시가 구체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올해 활발한 M&A로 현금 활용도를 높이며 라인업을 다각화해 중장기 성장 준비가 잘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