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올해 국내 수출 대기업 중 지난해보다 자금 사정이 악화한 기업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수출 대기업 자금 사정 실태조사'에 따르면, 매출액 1천대 수출 제조기업(111개사 응답) 중 27.0%가 지난해보다 자금 상황이 악화했다고 답했다. 반대로 호전됐다는 응답은 23.4%, 비슷하다는 응답은 49.6%였다.
자금난의 주요 원인으로는 매출 부진(40.0%), 원재료비 등 제조원가 상승(23.3%), 금융기관 차입비용 증가(11.1%), 인건비·물류비 부담 증가(10.0%) 등이 꼽혔다.
기업들은 글로벌 리스크 요인으로 환율 상승(43.6%), 미국발 보호무역·관세 인상(24.9%), 주요국 경기둔화(15.6%), 공급망 불안(9.6%) 등을 지목했다. 자금 관리 및 조달의 애로사항은 환율·원자재 리스크 관리(45.4%), 수출·투자 환경 악화 및 불확실성 대응(20.7%), 자본·금융시장 규제(13.8%), 정부 정책 불확실성(10.8%)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정책 과제로는 환율 변동성 최소화(29.5%), 수출·투자 불확실성 완화(17.1%), 공급망 다변화를 통한 원자재 수급 안정(16.8%), 탄력적 금리 조정(16.2%) 등이 제시됐다.
재무 건전성 측면에서는 부채비율 상승 기업이 20.7%, 하락 12.6%, 비슷 66.7%로 나타났으며, 기업이 적정하다고 보는 기준금리는 현재 2.50%보다 낮은 **1.80%**로 집계됐다.
자금 수요는 원자재·부품 매입(35.7%), 설비투자(30.7%), 연구개발(15.3%), 고용(9.9%) 등에서 주로 발생했으며, AI 도입·활용을 위한 자금 수요 증가 기업은 18.9%, 감소 8.1%, 비슷 73.0%로 조사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관세 인상의 여파와 환율 고공행진이 내수 부진과 겹쳐 기업들의 자금 사정 어려움이 여전하다"며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 노력과 함께 과감한 세제 지원과 규제 완화로 기업들의 숨통을 틔우는 동시에 AI 전환 등 미래를 위한 투자 여력 확보를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