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올해 미세먼지·치매·고독사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4490억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세종시 세종컨벤션센터에서 '2018년 정부업무보고'를 통해 건강·안전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대한 투자를 전년 3800억원에서 올해 4490억원으로 18% 확대한다고 밝혔다.
범죄·지진·식품위생·미세먼지·고독사·자살 등 삶의 질과 직결된 분야의 투자로 국민이 체감하는 기술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먹거리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 기반을 창출하겠다는 포석이다.
그간 과학기술은 삶의 질과 직결된 사회문제 해결보다는 수단으로 인식돼왔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사람중심의 과학기술·ICT 역할 재정립에 주력하고 있다. 국가의 미래 경쟁력이 달린 4차 산업혁명 대응도 사람 중심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비정규직 연구원 정규직 전환을 공약으로 내건 것도 같은 맥락이다.
우선 미세먼지의 원인 규명 및 한국형 예보모델 개발과 집진·전감 기술에 주력해 오는 2022년까지 30% 절감하겠다는 목표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에서 책임지겠다고 공약한 치매문제에 대해서도 조기예측·진단기술은 물론, 인지재활용 돌봄로봇, VR·AR 기반 치매 케어 콘텐츠 등 신기술을 접목한 융합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치매발병 전 조기 예측 정확도는 2017년 80%에서 2022년 95%로 15%포인트 개선할 방침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미지 인식 안경, 고독사 및 자살을 막기 위한 생활패턴 분석 및 소셜로봇 간병 활성화 등 사회적 약자 지원에도 기술 활용을 강화한다. 국가기간 시설 지진 조기 경보체계를 고도화하고 한반도 활성단층 지도를 작성해 지진 문제도 대응한다. 지능형 CCTV, AI 기반 범죄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해 범죄 예방에도 주력한다.
국민 참여도 강화한다. 국민생활과학자문단, 국민평가단, 리빙랩 등을 통해 과학기술계와 국민이 함께하는 국민생활문제 해결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