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에서 방영한 드라마 '지리산' [사진=tvN 홈페이지]](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1043/art_16355022568617_90c8d6.png)
【 청년일보 】 드라마 ‘지리산’이 방영 한 이후 시청률 1위 기록한 반면 혹평이 잇따르면서 에이스토리의 주가가 급락했다.
한국은행이 카카오뱅크를 국고금수납점으로 승인했다는 소식에 카카오뱅크의 주가가 상승했다.
KT가 예상치 못한 인터넷망 장애 발생에 대혼란을 야기하며 이로 인한 영향이 주가에 미치며 다소 하락했으며, 올 3분기에 역대 분기 중 최대 매출을 달성한 SK하이닉스의 주가는 상승세를 보였다.
◆ 지리산 방영 "시청률 1위 불구 혹평에" 에이스토리, 주가 하락
에이스토리가 드라마 ‘지리산’이 방영한 이후 급락세를 보임.
지난 25일 오후 3시11분 기준 에이스토리는 전 거래일 대비 9600원(19.37%) 하락한 3만9950원에 거래됨.
지난 23일 드라마 지리산이 첫 방영. 드라마에 대한 기대감에 역대 tvN 토일드라마 첫 방송 시청률 1위를 기록했지만 어색한 컴퓨터그래픽(CG)과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OST)이 장면에 맞지 않는 점 등의 혹평이 쏟아짐.
앞서 지리산 첫 방영을 앞두고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반영돼 에이스토리의 주가가 21% 이상 급등.
◆ 카카오뱅크, 국고금수납점 승인 소식에 상승
카카오뱅크가 국고금수납점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에 상승. 지난 28일 카카오뱅크는 전 거래일 대비 2600원(4.19%) 상승한 6만4600원에 거래 종료.
한국은행은 이날 국민의 국세 납부 편의성 증진, 국고업무의 효율성 제고 등을 고려해 카카오뱅크를 국고금수납점으로 승인했다고 밝힘. 인터넷전문은행 가운데 국고금 납부가 가능한 곳은 카카오뱅크가 처음.
다음달 1일부터 카카오뱅크는 국고금수납점으로서 한국은행을 대리해 국고금 수납업무 처리 가능. 납부 가능 세금은 소득세를 비롯해 법인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부가가치세, 관세 등.
◆ "전국 인터넷망 장애 악재에" KT, 주가 하락
KT가 예상치 못한 인터넷망 장애로 인해 혼란을 야기, 이 영향이 주가에 미치면서 하락세를 보임. 지난 25일 오후 2시54분 기준 KT는 전 거래일 대비 550원(1.73%) 하락한 3만1200원에 거래됨. 장중 한때 2% 이상 하락한 3만1천원선까지 하락하기도 함.
같은 날 오전 11시 20분경 KT 인터넷망이 전국곳곳에서 장애를 겪는 사태가 발생해 각 기관과 사무실 등에서 큰 불편을 겪음.
이에 장 초반 강보합 흐름을 보이던 KT는 인터넷 장애 피해가 확산한 오전 11시 30분경 급락세로 전환. 이후 서비스 복구 후에도 주가는 하락세를 만회하지 못함.
◆ SK하이닉스, 분기 최대 실적 기록…3거래일 연속 상승
SK하이닉스가 올 3분기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는 소식에 상승세를 보임.
지난 26일 오전 11시16분 기준 SK하이닉스는 전 거래일 대비 3000원(3.00%) 상승한 10만3000원에 거래됨. 3분기 실적 기대감이 커지면서 SK하이닉스의 주가는 최근 3거래일동안 6% 넘게 상승세를 이어감.
SK하이닉스는 올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5.2% 증가한 11조 8053억원을 기록해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이날 공시. 영업이익은 220.4% 증가한 4조1718억원을 기록해 약 2년 반 만에 4조 원대를 회복.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이 SK하이닉스의 3분기 호실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임. 서버 및 모바일에 사용되는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가 증가하고 제품 가격도 강세를 보이자 실적에 반영된 것. 그동안 적자를 지속하던 낸드 부문 역시 흑자 전환에 성공.
◆ 멜파스, 거래 재개 후 2일 연속 급등
멜파스가 거래 재개 후 2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임. 지난 27일 오전 11시30분 기준 멜파스는 전 거래일 대비 285원(14.07%) 상승한 2310원에 거래됨. 지난 26일 상한가를 기록했던 멜파스는 거래 재개 이틀째인 이날도 높은 상승폭을 기록.
지난 25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멜파스에 대해 파산신청 사유 해소로 주권매매거래 정지가 오는 26일 해제된다고 공시.
지난 13일 멜파스의 채권자 디에프에이프라이빗에쿼티가 법원에 파산신청서를 제출하면서 멜파스의 주권매매거래가 정지됨. 그러나 최근 채권자가 파산신청 취하서를 제출하면서 파산신청 사유가 해소됨.
!['불가리스 사태' 관련 대국민 사과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1043/art_1635502432721_e52145.jpg)
◆ 홍원식 회장 의결권 행사 금지 결정...남양유업 "다시 날개"
남양유업 주가가 법원의 홍원식 회장 일가의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금지 소식에 강세를 보임. 지난 28일 오전 11시7분 기준 남양유업은 전 거래일 대비 6만3500원(14.38%) 상승한 50만7000원에 거래됨.
상승 원인으로는 남양유업과 사모펀드 운용사 한앤컴퍼니(이한 한앤코)의 계약이 유효하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전날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송경근 수석부장판사)는 한앤코19호 유한회사가 홍 회장과 아내 이운경 고문, 손자 홍승의 군을 상대로 낸 의결권 행사 금지 가처분 신청을 일부 인용.
이에 홍 회장과 이 고문, 홍 군은 지난 29일 열린 남양유업 임시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3명과 사외이사 1명을 선임하는 안건에 찬성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됨. 아울러 재판부는 홍 회장 등이 이번 결정을 어기고 의결권을 행사하면 100억원을 한앤코에 지급하도록 함.
◆ 3분기 매출 부진에 LG생활건강 하락세…증권가 목표주가 하향
올해 3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LG생활건강이 하락세를 보임. 지난 27일 오전 11시15분 기준 LG생활건강은 전 거래일 대비 9만1000원(6.84%) 하락한 124만원에 거래됨.
LG생활건강은 3분기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2.9% 감소한 2조103억원을 기록했다고 전날 공시. 2005년 3분기 이후 분기 매출 감소는 이번이 세 번째.
이 같은 실적 부진에 증권가에서는 LG생활건강에 대한 목표가를 하향조정. DB금융투자는 LG생활건강의 목표주가를 185만원으로 하향 조정했고 KB증권도 목표주가를 150만원으로 대폭 하향.
◆ "블록체인 사업 MOU 체결에" 위메이드·NHN 동반 상승
위메이드와 NHN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임. 29일 오전 11시11분 기준 위메이드는 전 거래일 대비 1만6600원(10.37%) 상승한 17만6700원에 거래됨. 같은 시간 NHN은 9.41% 상승한 8만200원에 거래됨.
위메이드와 NHN은 이날 게임 및 블록체인 사업 협력을 위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NHN이 보유한 콘텐츠를 위메이드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WEMIX)에서 서비스할 계획.
위메이드는 온라인, 모바일 게임 개발과 유통, 판매, 메타버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NHN은 온라인 및 모바일게임 사업과 간편결제 서비스 및 웹툰 서비스 등을 운영하는 기업.
◆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상장 첫날 급등 후 하락세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이 코스닥 상장 첫날 하락세를 보임. 29일 오전 10시53분 기준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은 시초가 2만4천원 대비 750원(3.13%) 하락한 2만3250원에 거래됨. 장 초반 12%가량 상승했던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은 이후 하락 전환.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은 앞서 진행한 기관 수요예측에서 공모가를 희망 범위 상단인 1만7천400원으로 확정. 일반 공모 청약에서는 1479.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증거금 4조6천억원을 모집.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은 친환경 반도체 공정장비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회사.
◆ 인수합병에 무상증자까지…쎄미시스코 2일 연속 '상한가'
쎄미시스코가 무상증자 소식에 또 다시 상한가를 기록.
29일 오후 2시 55분 기준 쎄미시스코는 전 거래일 대비 3250원(29.82%) 상승한 1만4150원에 거래됨.
쎄미시스코는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이 발생한다고 지난 27일 공시. 무상증자를 하면 신주배정기준일에 맞춰 권리락이 발생하는데, 이때 주가가 단기적으로 급등하는 경우가 있음.
앞서 쎄미시스코는 1주당 3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 신주배정기준일은 이날이며, 상장 예정일은 다음 달 30일.
지난 25일 '회생회사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인수합병(M&A)' 공고 우선협상대상자 입찰 결과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점도 주가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됨.
【 청년일보=나재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