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5.6℃
  • 구름많음강릉 29.7℃
  • 구름많음서울 27.3℃
  • 구름많음대전 26.5℃
  • 흐림대구 27.2℃
  • 흐림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3℃
  • 흐림부산 24.0℃
  • 흐림고창 24.3℃
  • 구름많음제주 24.2℃
  • 구름조금강화 21.9℃
  • 구름많음보은 25.8℃
  • 구름많음금산 25.0℃
  • 구름조금강진군 23.8℃
  • 흐림경주시 ℃
  • 흐림거제 23.0℃
기상청 제공

현경연 "올해 韓 수출 9.3% 성장 예상…9월부터 증가율 둔화"

현경硏, '하반기 수출 리스크 요인과 전망' 보고서 발표

 

【 청년일보 】 올해 한국 수출이 9.3% 성장해 지난해의 침체를 벗어나지만, 9월부터 증가율이 둔화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하 현경연)은 26일 '수출 경기 회복력의 강화-하반기 수출 리스크 요인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10월에 증가세로 전환돼 올해 4월까지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예상보단 수출 경기의 회복(resilience) 강도가 강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세계 경제의 저성장 국면 진입으로 한국 수출 확장 속도가 제약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세계 경제성장률은 코로나 팬데믹 이전(2011~19년) 연평균 3.5%에서 이후(2022~29년) 3.2%로 하락하는 추세다. 

 

선진국 경제성장률은 팬데믹 이전(2011~19년) 연평균 1.9%에서 이후(2022~29년) 1.8%로 하락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개도국·신흥시장 경제성장률은 같은 기간 4.8%에서 4.1%로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세계 경제가 저성장 국면으로 진입한다는 건 글로벌 교역도 저성장 국면으로 진입한다는 말과 동일하기 때문에, 향후 한국의 수출 증가 속도를 코로나19 이전의 높은 수준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현경연의 설명이다.

 

아울러 보호무역주의 확산도 수출 경기의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최근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인해 경제성장에 교역이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교역탄성치는 지난해 1.3에서 올해 0.9, 내년 0.7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밖에 핵심 수출 시장 G2(미국·중국)의 경제 불확실성도 수출 경기의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미국과 중국 시장에 대한 수출은 전년도 기준으로 전체 수출의 42%이며, 중국에 대한 수출 비중은 23.7%, 미국 수출 비중은 18.3%에 달한다. 

 

최근 IMF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을 지난해(2.5%)보다 높은 2.7%로 예측했는데, 투자은행(IB)들은 평균 2.4%로 소폭 하락을 전망하고 있다. 

 

중국 경제의 경우 주택시장의 조정이 장기화되고 점이 불확실성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경연은 전반적으로 올해 한국 수출 경기는 지난해 침체를 벗어나는 국면에 위치할 것이나, 하반기 수출 회복의 강도는 기대만큼 높아지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현경연은 올해 수출 증가율은 9.3%로 예상하되 ▲세계 경제의 저성장 ▲보호무역주의 확산 ▲미·중 불확실성 같은 수출 경기 리스크 요인들의 발현 여부에 따라 회복 강도가 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립적 시나리오의 경우 9월부터 수출 증가율이 둔화하고, 비관적 시나리오의 경우 12월 중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주원 현경연 경제연구실장은 "한국 수출 경기의 회복을 위해 미국의 정치 불안정성에 따른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 확산이 가져올 시장의 규제 강도 변화와 미·중 갈등 격화에 따른 시장분절화(경제블록화) 심화 가능성에 적극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출 경기의 회복 강도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출 회복세가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에 대응해 내수 부문의 경기 안전판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