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207/art_17394037410113_0f3835.jpg)
【 청년일보 】 대한적십자사(적십자사)가 헌혈 답례품으로 제공할 영화 관람권을 정상가의 3분의 1도 안 되는 금액에 대량 사들이기로 해 논란이 되고 있다.
13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적십자사는 지난달 22일 영화 티켓 65만3천여장의 판매처를 찾는 입찰 공고를 냈다. 배정된 예산은 32억6천여만원으로, 티켓 한 장당 5천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롯데시네마가 단독 응찰함에 따라 양측은 협의를 거쳐 지난 6일 장당 3천924원에 수의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 가격은 평일 관람권 정가(1만4천원)의 28% 수준이다.
CGV와 메가박스는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적십자사는 연간 영화 관람권 약 130만장을 사들인다. 상영관으로서는 포기하기 쉽지 않은 큰손이지만, 멀티플렉스 3사 중 2사가 입찰하지 않은 것은 적십자사가 지나치게 낮은 가격을 매긴 영향으로 분석된다.
적십자사의 입찰 공고 때 배정한 영화 티켓 구매 예산은 지난 2020년 상반기부터 지난해 하반기까지 한 차례를 제외하면 모두 장당 6천원이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5천원으로 감소했다.
2020년 상반기 5천800원이던 기초 금액은 꾸준히 줄어 지난해 상반기에는 4천500원까지 내려갔다. 당시 낙찰가는 3천621원으로 정가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적십자사는 답례품으로 편의점 교환권과 모바일 멀티상품권도 활용하는데 이들의 입찰할 때와 대비되는 모습이다. 둘 다 정가는 8천원인데 적십자가 제시한 기초 금액은 각각 7천800원, 7천600원이었다.
이에 일각에서는 낮은 티켓 가격이 제작 환경이나 콘텐츠의 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티켓 판매 수익을 극장과 투자배급사가 나눠 가지는 구조에서 티켓 가격이 낮아지면 배급사가 새 영화 제작에 투자할 여력 역시 줄어든다는 것이다.
한편 적십자사는 과거 입찰·계약 금액 등을 고려하고 계약 가능성을 판단해 관련 예산과 기초금액을 정했을 뿐이라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