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타트업 토크' 강연에서 김한준 퓨리오사AI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최종현학술원]](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8/art_17584137865129_88c1ad.jpg)
【 청년일보 】 최종현학술원은 한국고등교육재단과 지난 19일 강남구 재단 컨퍼런스홀에서 'AI 스타트업 토크' 강연을 공동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강연에는 김한준 퓨리오사AI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조강원 모레 대표(CEO), 이주형 마크비전 AI 총괄이 연사로 참여해 창업 배경, 핵심 기술과 사업 모델, 인재 전략을 공유했다.
김한준 CTO는 "AI가 학습에서 추론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전력 소모와 컴퓨팅 파워 문제가 새로운 패권 경쟁의 핵심이 되고 있다"며 자사의 저전력 반도체 칩을 소개했다.
그는 "엔비디아가 세계 1위 기업이지만, 퓨리오사AI는 추론 영역에서 충분히 경쟁할 수 있다"면서 "프로그램 지원성, 성능,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잡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2017년 설립된 퓨리오사AI는 국내 대표 AI 유니콘으로, 최근에는 LG AI연구원·오픈AI와 파트너십을 맺고 실제 모델 실행 데모를 선보였다.
조강원 CEO는 "AI는 알고리즘의 승부가 아니라 초거대 컴퓨팅 인프라와 이를 쥐어짜는 소프트웨어의 전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엔비디아가 GPU만 파는 회사로 보이지만, 이미 수천억 원대 데이터센터 장비를 공급하며 AI 생태계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CEO는 엔비디아가 풀지 못하는 문제를 소프트웨어로 해결하는 전략을 택했다. AMD 등 다양한 반도체 기업과 협업해 특정 칩에 종속되지 않고, 여러 하드웨어에서 최적화된 성능과 비용 효율을 구현하는 인프라 소프트웨어를 구축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 사례를 언급하며 "딥시크가 공개하지 않은 것은 모델이 아니라 학습과 추론을 빠르고 저렴하게 구현한 소프트웨어였다"면서 "결국 진짜 경쟁력은 모델 자체보다 '비용 구조를 혁신하는 소프트웨어'에 있다"고 말했다.
이주형 AI 총괄은 위조상품·불법 콘텐츠 확산을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다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위조상품 시장 규모가 전 세계 500조원에 달하고, 국내 피해만 연간 13조원에 이른다"면서 "루이비통·티파니 등 글로벌 브랜드를 고객으로 둔 마크비전은 AI 기반 탐지·차단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지식재산권 보호 생태계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9일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 빌딩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 공동 주최 ‘AI 스타트업 토크’ 강연에서 조강원 모레 대표(CEO)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최종현학술원]](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8/art_17584132494858_b4be08.jpg)
'소버린 AI'와 글로벌 진출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 김한준 CTO는 "소버린 AI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AI·반도체는 본질적으로 글로벌 경쟁의 영역"이라면서 "각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장벽을 세우기도 하지만, 제품 자체는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야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조 CEO는 "소버린 AI는 인프라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주는 개념이지만, 뒤처진 기술을 내수 보호 논리로만 유지한다면 국가 경쟁력 자체를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선택할 수 있는 길로 ▲오픈AI API를 그대로 활용하되 서비스 장애와 의존성 위험을 감수하는 방안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하되 미국 최신 기술 대비 2~3년의 격차를 받아들이는 방안 ▲한국이 직접 더 우수한 모델을 개발해 오픈소스를 능가하는 성과를 창출하고 독자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조 CEO는 "소버린 AI는 단순히 내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라, 오픈소스를 뛰어넘는 역량을 직접 구축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강연에서는 'AI 기업들은 실제 업무에서 어떻게 AI를 활용하고 있는가'라는 질문도 이어졌다.
조 CEO는 "AI 업계에 있다고 해서 AI를 잘 쓰는 것은 아니다"면서 "특히 우리 분야는 코드 생성 품질이 아직 낮아 직접적인 활용은 제한적이지만, 글로벌 협업 과정에서 번역 등 언어 장벽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형 총괄은 "AI를 제품에 적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면서 "정확도가 떨어질 경우 사람이 개입해야 하는 일이 늘어난다. 다만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단순화하는 용도로는 효과가 크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에는 프롬프트를 주고받으며 회의나 문서 작업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면서 "프롬프트를 잘 쓰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가 크다"고 덧붙였다.
김 CTO는 "프롬프트를 잘 쓰는 능력은 교육·조직 관리 이론과도 비슷하다"면서 "대인관계와 설명력이 좋은 사람들이 보통 프롬프트도 잘 다룬다"고 설명했다.
이어 "AI 툴의 변화 속도가 워낙 빨라 조직 차원에서도 주 단위로 업무 방식이 바뀌고 있다"면서 "정보 유통과 협업 과정이 점점 더 자동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