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9.7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따른 후속 조치로 수도권 도심의 노후 공공청사를 활용한 복합개발을 본격화해 주택 공급 확대에 나선다.
LH는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전담 TF'를 신설해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에 속도를 낸다고 10일 밝혔다.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은 낡은 청사 부지를 활용해 주거시설과 행정·복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한 건물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짓는 '복합 거점형 모델'이다.
신설되는 전담 TF는 복합개발 사업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며 사업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맡는다.
구체적으로 ▲국토부·LH·지자체 간 협력체계 지원 ▲신규 사업지 발굴 ▲유형별 사업모델 수립 ▲관련 제도 개선 지원 등의 업무를 전담한다.
LH는 이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전국 28개 지구에서 총 4천956호의 주택을 준공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지난해 9월 서울 강동구에 문을 연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가 있다.
해당 청사는 지하 5층~지상 14층 규모로, 지상 1~6층에는 주민센터, 작은도서관, 어린이집, 경로당, 사회복지관 등이 들어섰다.
7층부터 14층까지는 공공임대주택 94호가 공급돼 주거와 공공서비스가 결합된 모델을 구현했다.
강오순 LH 지역균형본부장은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은 주거공급 확대, 노후 공공자산 활용,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사업모델"이라며 "전담 조직을 신설한 만큼 사업 속도를 높여 수도권 도심 내 주택공급을 빠르게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