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코로나19'發 공포심리 확대일로…금융권 '제2의 금융위기' 우려고조

코로나19 사태로 인구 이동·금지 및 교역 급감 속 경기침체 공포감 확산
'제2의 금융위기' 가능성 고조…"실물경제 중점의 대응책 마련 시급" 지적

 

【 청년일보 】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글로벌 증시가 동반급락하면서 지난 1997년 IMF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의 경제 위기를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정부는 세계 경기 침체 양상이 미증유의 비상경제시국이라고 발표해 일각에서는 '제2의 금융위기'에 실물경제 중점의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1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전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부양책에도 대폭락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구 이동이 금지되고 교역이 줄어들면서 경기 침체 공포가 확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에 한국도 제2의 IMF 외환위기 우려가 가중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997.10p(12.93%) 폭락한 20188.5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1.98% 추락, 나스닥 지수는 12.32% 폭락했다.

특히, 다우지수는 지난 12일 이후 2거래일 만에 1987년의 '블랙먼데이' 이후 최대 하락률을 다시 갈아치웠으며 유럽의 주요 지수는 2012년 이후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에 금융권 관계자 "금융위기로 확산될 것이냐 아니냐를 놓고 전문가들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며 "강력한 추가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지 않으면 금융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국,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가 코로나19 확산에 이동을 금지하고 나서며 수요와 공급 위축, 실물경제 위기, 금융위기로 확대된데 따라 코로나19가 금융시장 충격에 이어 실물경제 위축과 둔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경기둔화 속도 대비 통화정책 대응이 늦어지면 경기위축 속도가 빨라지고 둔화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같은 세계적 금융시스템 위기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각국 정부가 단기 유동성을 확대하는 등 양적완화와 금리인하 등 정책을 가동하고 있어 좀 더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중국발 코로나19가 전세계 전염병으로 대유행하는 '펜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상태에 달해 당초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는 모두 금융시장에 가해진 충격이 실물경제로 옮겨간 것과 비교했을 때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유사하게 나타나 금융위기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불확실성에 대한 공포가 글로벌 정책 공조를 압도하는 상황"이라며 "금융시장은 금리인하 및 양적완화보다 더 큰 유동성 공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길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