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맑음동두천 17.5℃
  • 맑음강릉 21.1℃
  • 박무서울 20.4℃
  • 맑음대전 19.6℃
  • 박무대구 21.7℃
  • 박무울산 19.8℃
  • 맑음광주 21.9℃
  • 박무부산 21.5℃
  • 맑음고창 20.6℃
  • 맑음제주 23.2℃
  • 맑음강화 20.7℃
  • 맑음보은 18.4℃
  • 맑음금산 19.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0.4℃
  • 맑음거제 20.9℃
기상청 제공

LG화학 개인투자자 6천억 순매도…"배터리 분사 여파"

이달 주총 통과 여부 촉각…참석 주주 3분의 2이상 쟁점
기관·국민연금 캐스팅 보트…"아직 결정한 것은 없어"

 

【 청년일보 】 LG화학의 배터리 사업 분사 발표 이후 개인투자자가 LG화학 주식 6천억원 이상을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사에 대한 개미들의 반발이 계속되면서 오는 30일 열리는 임시주주총회에서 분사안 통과에 필요한 찬성표를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LG화학이 배터리 사업을 물적분할해 100% 자회사(가칭 LG에너지솔루션)로 만드는 계획을 발표한 지난달 17일부터 최근(지난달 29일)까지 개인은 LG화학 보통주 총 6천5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17일 이래 9거래일 동안 개인은 8거래일 동안 LG화학을 계속 매도했다. 다만 지난달 23일만 504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이 매도에 나선 것은 LG화학의 배터리 분사 여파로 분석된다. 추후 배터리 사업이 성장해도직접적인 수혜를 보지 못하게 된 까닭이다.

 

한 투자자는 청와대에 분사를 막아달라며 올린 국민청원에서 "세계 1등인 LG화학 배터리의 성장성을 보고 투자했다"며 "배터리가 빠진 사양산업 화학회사라면 절대로 투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물적 분할의 경우 LG에너지솔루션이 기업공개(IPO) 후 상장해도 우리는 신주를 받지 못한다"며 "이는 방탄소년단의 성장성을 보고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투자했는데 방탄소년단이 탈퇴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이처럼 개인 투자자 사이에서 분사 반대 여론이 적지 않은 분위기여서 분사안의 주총 통과 여부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회사 분할은 특별결의 사항이어서 참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총 발행주식수의 3분의 1 이상 찬성을 얻어야 통과된다.

 

LG화학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모기업 LG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LG화학 지분(지난 6월 말 기준)은 2천355만5760주로 총 발행주식수 6천893만9926주(의결권이 없는 자사주는 제외)의 34.17%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총 발행주식수의 3분의 1 이상 확보에는 문제가 없지만, 참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찬성표 획득이 관건이다.

 

만약 이번 주총 참석률이 51.25% 이하일 경우 LG 측 지분만으로도 참석 주주의 3분의 2를 넘겨 분사안이 무난히 통과된다.

 

하지만 LG화학에 따르면 지난 3월 정기주총 당시 참석률은 76.4%여서 이번 주총 참석률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LG 측 지분에 더해 약 1천100만주 이상, 지분율로는 약 16% 이상의 찬성표가 필요해진다.

 

LG 측 지분 외 나머지는 국민연금이 10.20%(702만9720주), 1% 미만 보유 소액주주가 54.33%(3천745만3428주)를 각각 갖고 있어 LG화학은 국민연금과 400만주 이상 소액주주의 지지를 얻어내야 하는 셈이다.

 

또 LG화학은 주주 편의를 높이기 위해 이번 주총에서 전자투표제를 도입하기로 해 주총 참석률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데, 이 경우 참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획득에 필요한 주식 수가 더 많아져 통과가 어려워진다.

 

이와 관련해 자산운용사 등 LG화학 보유 기관들은 분사안의 주주가치 훼손 여부를 평가하는 등 주주권 행사를 검토하고 있어 이들 기관과 국민연금의 선택이 캐스팅 보트로 작용할 전망이다.

 

NH-아문디자산운용 관계자는 "분사와 관련해 LG화학에 주주서한을 보내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보내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주총에서 의결권을 어느 방향으로 행사할지 검토 중이며, 아직 결정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강정욱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