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가구 중 2가구는 한 가구 내 연령이 다른 구직자가 2명 이상 존재하는 이른바 '한 지붕 두 구직자'의 모습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알바를 가장 희망하는 연령은 40대로, 20대보다 3배 이상 높았다.
7일 인크루트와 알바콜이 공동으로 13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지붕 두 구직자' 설문조사 결과 43%가 '다른 세대 간 구직자 2명 이상 있다'고 응답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9%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30대(23%) ▲50대(19%) ▲60대(13%) ▲40대(10%) 순으로 높았다. 전체적으로는 2030 구직자가 52%로 과반을 차지하는 가운데 40대 이상 구직자도 총 42%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다만, 연령별 '희망직종'과 '희망고용형태'는 다소 양상이 달랐다. 가장 희망하는 직종은 ▲사무직(44%) ▲전문직(25.1%) ▲서비스직(17.6%) ▲노무직(6.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사무직'은 연령별 고른 선택을 받았지만, '서비스직'은 40대에서, '노무직'은 60대와 70대의 선택률이 상당히 높았다.
연령별 선호도 차이는 희망고용형태도 마찬가지였다. 가장 희망하는 고용형태는 ▲전일제-경력직(46.9%) ▲전일제-신입직(34.4%) ▲시간제-아르바이트 포함(13.5%) 순이었다.
전일제(합계 81.3%) 희망비율이 시간제 대비 6배 이상 높게 나타난 가운데 '전일제-신입직'의 경우 20대의 응답률이 69.8%로 가장 높았다면, '시간제(아르바이트 포함)'를 선택한 연령별 비중은 20대 6.6%에 비해 40대가 22.2%, 50대 20.9%, 60대 16%로 나타났다. 시간제를 가장 희망하는 연령대는 40대로 이는 20대에 비해 최대 3배 이상 많은 것이다.
전체 응답자의 31%는 구직활동 중 세대 간 경쟁을 체감했다고 털어놓았다. 일부는 세대 간 경쟁으로 구직에 실패한 경험도 있었다.
인크루트 관계자는 "갈수록 늘어나는 한 지붕 두 구직자 추이에 맞춰, 세대 간의 불필요한 경쟁보다는 세대 간 상생해 구직난을 타개할 수 있는 지혜가 요구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